기사등록 : 2020-01-30 06:17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북한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방역을 위해 '국가 비상 방역체계'를 선포한 것은 소위 최고지도자를 보호하기 위한 '평양 봉쇄'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탈북자 출신인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소 소장은 30일 "북한은 예방의학이 상당히 취약하다"며 "국가 비상 방역체계에 돌입했다는 건 전면 봉쇄·차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반면 다른 지역에서 전염병이 일어나는 것은 막을 여력도 없고 관심도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 대외선전매체 내나라는 지난 28일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신형 코로나바이러스가 세계 여러 나라에 급속히 전파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북한에서 방역체계를 국가비상방역체계로 전환한다는 것을 선포하고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을 막기 위한 사업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까지 외신 등을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중국과의 국경 봉쇄 ▲북중 국경무역 완전 금지 ▲북한 출입국 사증(비자) 발급 중단 ▲국영 고려항공 중국 노선 운항 중단 ▲중국에서 북한으로 입국 한 모든 외국인 한 달간 격리·관찰 등의 조치를 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북한은 관영 매체를 동원해 연일 타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병 현황과 예방 수칙 등을 주민들에게 전하며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안 소장은 "어제 단둥 소식통을 통해 전해들은 바 국경은 거의 다 봉쇄됐다고 한다"며 "북한 내부에서 열차는 전국적으로 운행을 하고 있지만, 버스의 경우 시·군을 벗어나지 못하게 막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