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한은 통화정책방향 바뀐 문구..."국내 경제 성장세 약화"

기사등록 : 2020-02-27 11:1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코로나19 확산 정도·국내 경제 영향, 점검 요소 추가

[서울=뉴스핌] 문형민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7일 발표한 통화정책방향에 '성장세 약화'란 표현이 되돌아왔다. 지난달 '국내 경제는 부진이 일부 완화되는 움직임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던 것과 달라진 시각이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1%로 하향 조정했다. 하지만 기준금리는 현 수준인 연 1.25%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했다. 2020.02.27 hyung13@newspim.com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에서 "국내 경제는 성장세가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렇게 바뀐 이유는 무엇보다도 코로나19 확산 때문이다.

한은은 "설비투자의 부진이 완화됐으나, 건설투자의 조정이 이어진 가운데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수출이 둔화됐다"면서 "금년중 GDP성장률은 2%대 초반 수준에서 지난 11월 전망치(2.3%)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며,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향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에 대한 진단과 전망은 지난 달과 비슷했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초반을 보이다가 다소 낮아져 금년중 1% 내외를, 근원인플레이션율은 0%대 후반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시장에 대해선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판단했다.

가계대출에 대한 평가는 지난달 '증가규모가 확대됐으며'에서 '소폭 확대됐으며'로 완화됐다. 주택가격에 대해선 '수도권을 중심으로 높은 오름세를 나타냈다'에서 '서울 이외 수도권을 중심으로 비교적 높은 오름세를 나타냈다'로 바뀌었다. 즉, 가계대출 증가세와 주택가격 상승세에 대한 우려의 강도가 이전에 비해 줄었음을 의미한다. 

금통위는 '코로나19의 확산 정도와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 요소로 추가했다. 이전까지 점검 요소는 ▲글로벌 무역분쟁 ▲주요국 경기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었다.  

hyung1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