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김종인 "공천 관여 않겠다"…통합당 선대위원장직 수락하나

기사등록 : 2020-03-16 06:0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김종인 "공천 인물들에 대해 평가했을 뿐…특별한 의도 없었다"
황교안, 승리 DNA 김종인 영입할까…리더십 시험대로

[서울=뉴스핌] 김태훈 기자 =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회가 김형오 위원장의 사퇴 등 내홍 속에서도 공천 작업을 대부분 마무리했다. 통합당은 4·15 총선을 한 달여 앞둔 만큼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통합당은 선대위원장으로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영입하기 위해 물밑 작업을 벌여왔다. 김 전 대표와 김 위원장은 통합당 공천 과정에서 갈등을 빚어오며 일각에서는 김 전 대표가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선거가 임박했고, 김 위원장이 자진사퇴함에 따라 김 전 대표가 최근 통합당 선대위원장직을 맡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선거상황실에서 방송 3사의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김종인 "통합당 공천 더 이상 얘기않겠다"…통합당 선대위원장직 수락하나

김종인 전 대표는 통합당의 공천을 보고 논란을 제기해왔다. 그는 "(미래통합당) 선대위원장으로 도움이 되려면 당에서 도움이 될 여건을 갖춰놔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 강남갑에 전략공천을 받은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를 향해 "국가적 망신이다. 공천을 이벤트화 한 것"이라며 "그 사람이 강남하고 무슨 관계가 있나. 남한에 뿌리가 없는 사람"이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납득이 안 된다"며 "공관위는 오랜 논의와 고심 끝에 태 전 공사를 강납갑에 공천했다. 우리 공관위의 하이라이트 공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가에서는 두 사람의 갈등이 격화되며 김 전 대표가 통합당 선대위원장직을 승낙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최근 서울 강남병에 공천한 김미균 시지온 대표 사건으로 인해 자진사퇴를 결정했고, 김 전 대표는 공천에 신경을 쓰지 않겠다며 통합당 선대위원장직 승낙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대표는 최근 신동아와의 인터뷰에서 "통합당 공관위가 진행한 공천에 대해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공천 갈등을 더 키우지 않고 이쯤에서 마무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사실상 통합당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공관위에서 뭘 하는지 관심은 없지만, 공천하기로 결정 난 인물들에 대해 평가를 좀 해보는 것"이라며 "공관위가 결정한 인물이 일반 여론이나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합당한 사람이라면 아무 문제없는 거다. 그런데 자꾸 잡음이 생기니까 내 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전 대표는 최근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를 향한 '남한에 뿌리가 없다'는 발언에 대해 "단지 한 국가의 상식적 수준에서 판단한 것"이라며 "내가 특별한 의도가 있어서 그런 말을 한 게 아니다. 기자가 이상한 표현을 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태 전 공사가 경호원을 끌고 다니면서 선거운동을 해야 한다. 그간 여러가지 행동의 어려움이 있으니 참고 삼아 얘기한 것"이라며 "그런 분은 차라리 지역구 보다는 비례대표로 출마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생각한 것뿐"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03.09 leehs@newspim.com

◆황교안 리더십 시험대로…'승리 DNA' 김종인, 선대위원장직 이끌어야 

통합당 공천 갈등이 어느정도 잦아들자 황교안 대표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김 전 대표의 선대위원장직 수락을 이끌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1940년으로 올해 만 80세인 김 전 대표는 5선 의원이나 모두 비례대표로 지낸 한국 정치사에 특이한 이력을 지닌 사람이다. 11대, 12대는 민정당, 14대는 민자당으로 보수 정당에서 지냈으나, 17대 새천년민주당, 20대 더불어민주당에서 비례대표로 의정활동을 했다. 단 한번 지역구를 출마했던 13대에서는 서울 관악을에서 이해찬 대표에게 패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경제민주화 조항은 1987년 민주화 개헌 당시 김 전 대표가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태우 정부에서는 청와대 경제수석, 보건사회부 장관을 역임했다.

정치권에서 그의 별명은 '차르(옛 러시아 황제) 김종인'이다. 민주당 비대위 대표로 비공개 회의를 주재할 때 자주 하는 말이 "내가 다 생각이 있다"라고 전해진다. 주변 사람과 상의해 결정하기 보다는 본인의 판단을 더 중시한다는 의미다.

20대 총선에서 이해찬 대표를 잘라냈지만 총선을 승리로 이끌며 단숨에 몸값을 높였다. 큰 선거 4연패(敗)를 막아야 하는 황교안 대표의 입장에서 그의 승리 DNA가 필요했던 이유다.

taehun02@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