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GAM

연준 바주카에도 자금시장 '패닉' 리먼 사태 재연

기사등록 : 2020-03-17 00: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월가를 필두로 주요국 자금시장이 초비상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유동성 경색을 우려한 글로벌 기업들이 일시에 신용라인 인출에 뛰어들면서 금융권이 자금 압박에 시달리는 한편 달러화 자금 수요가 갑작스럽게 급증한 데 따라 주요국 통화 스왑금리가 널뛰기를 연출하고 있다.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주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제로 금리 시행과 함께 대규모 유동성 공급에 나섰고, 영국을 포함한 각국이 같은 행보를 취했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 당시와 같은 상황이 재연되고 있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국에서 번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기업 공급망과 영업망, 민간 소비를 마비시킨 데 이어 금융시스템을 흔들기 시작했다는 지적이다.

16일(현지시각)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에 따르면 1조1300억달러 규모의 미국 기업 어음시장의 금리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까지 치솟았다.

어음시장은 일반적으로 신용 상태와 재무건전성이 양호한 우량 기업이 무담보로 단기 자금을 확보하는 창구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은행권도 북새통이다. 신용라인을 인출하려는 기업들이 한꺼번에 몰려들면서 유동성이 증발하는 양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반도체 칩 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기존 신용라인 25억달러를 모두 인출한다고 발표했고, 유럽의 항공기 리스 업체 에어캡 홀딩스 역시 은행권에 40억달러의 신용라인을 사용하겠다고 통보했다.

카지노 업체 펜 내셔널 게이밍과 힐튼 월드와이드 홀딩스, 윈 리조트와 보잉 등 각 업계 메이저들이 일제히 현금 확보에 뛰어들었다.

신용라인만으로는 비상 사태에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배경으로 깔려 있다. 최근 움직임은 리먼 파산 당시에도 벌어졌던 일이다.

달러화 자금 수요가 크게 치솟으면서 외환시장도 아수라장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이 실시한 20억달러 규모 외환 스왑에 46억7000만달러에 달하는 입찰이 몰렸다. 이는 2013년 이른바 '테이퍼 발작' 이후 최대 수요다.

이와 함께 인도 루피화는 1달러 당 74.5250루피에 거래, 통화 가치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내리 꽂혔다. 달러 자금 수요 급증과 함께 외국인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인도 금융자산 '팔자'가 쏟아진 결과다.

연준의 공격 행보와 함께 은행권이 자사주 매입을 중단하며 시장에 공급할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 금융시스템 위기를 차단하기 위한 대응이 이어지고 있지만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 비관론이 꼬리를 물고 있다.

도쿄 소재 스미토모 미츠이 DS 애셋 매니지먼트의 구니베 신지 글로벌 투자 전략 이사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최근과 같은 유동성 경색 조짐은 리먼 사태 이후 본 적이 없다"며 "개인 투자자부터 기업까지 현금 확보에 사활을 걸었고, 자금시장 상황은 유럽 부채위기보다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개인 투자자들도 마찬가지. 주식은 물론이고 금과 비트코인까지 동반 하락한 것은 팔 수 있는 것을 모두 팔아 현금을 쥐겠다는 움직임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이른바 바주카가 자금시장 패닉을 진화하기 어렵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런던 소재 RBC의 엘사 라이노스 외환 전략 헤드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완화와 유동성 방출이 소비 급감과 실물경기의 작동 정지를 돌이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닐 셔링 이코노미스트는 WSJ과 인터뷰에서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충격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며 "은행권을 중심으로 금융위기가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higrace5@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