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재계노트] 두산 그때 그랬더라면...하지만 늦지 않았다

기사등록 : 2020-04-19 06:3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두산중공업 유동성 위기, '중공업그룹 몰빵' 여파로 보기도
총수일가 의사결정에서 원인 찾는 시각도.."변화 서둘러야"

[서울=뉴스핌] 이강혁 기자 = "그때 그랬더라면…"

두산중공업의 유동성 위기로 그룹 전체가 흔들리는 두산을 두고 재계 관계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이다.

창업 124년, 국내 최고령 기업인 두산의 위기를 안타깝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나, 그만큼 호미로 막을 수 있었던 위기를 가래로 막는다는 질책의 시선도 담겨있다.

그때 그랬더라면. 두산 총수일가도 지금 이같은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

20일 재계에 따르면 두산의 이번 유동성 위기사태는 사실 그동안의 그룹 체질개선 과정과도 맞닿아 있다. 코로나19 여파가 아예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두산의 위기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이번 위기의 핵심인 두산중공업은 국내에서 가장 안정적이라는 발전산업의 대표주자다. 지금까지 쌓아온 사업경쟁력만으로도 큰 힘 들이지 않고 꾸준한 매출을 올릴 수 있는 회사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그만큼 정부 정책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없는 사업경쟁력은 이번 유동성 사태를 키운 주범이기도 하다. 글로벌 발전시장 침체와 맞물린 정부의 탈원전 정책, 잦은 전력수급계획 변경 등이 두산중공업 사업 악화에 영향을 줬다. 여기에 코로나 확산에 따라 얼어붙은 회사채 시장이 자금 조달 어려움이라는 기름을 부은 격이다.

다만 이는 두산중공업이 그동안 안정적인 사업경쟁력에 기대서 너무 안일한 경영과 영업방식을 고집해 온 것은 아닌지 자기성찰이 이어져야 할 대목이기도 하다. 지난 3월30일 개최된 두산중공업 정기 주주총회에서도 이런 이유로 경영진을 꾸짖는 주주들의 목소리는 높았다.

두산그룹의 지배구조는 (주)두산→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 두산건설 등으로 이어진다. 지배구조의 핵심인 두산중공업의 유동성 위기가 그룹 전체를 흔들어놓을 위기일 수밖에 없다.

재계가 안타까움을 나타내는 것도 이런 지배구조상 당장의 두산중공업 유동성 위기 때문만은 아니다. 두산이 그동안 이런 지배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차례 위기를 맞았고 이를 통한 변화의 기회도 있었으나 '중공업그룹 몰빵'이라는 고집스러움으로 결국 화를 불렀다고 보는 것이다.

단적으로 두산중공업은 구조상 두산인프라코어나 두산밥캣, 두산건설이 어려울 때마다 10년 넘게 백기사 역할을 해왔다. 어떨땐 자금을 지원하고 어떨땐 보증을 서면서까지 아우들을 지켜야할 숙명의 자리였던 것이다. 두산중공업의 이번 유동성 위기도 발전 매출 감소 속에서 두산건설에 1조원 가량을 지원해줬던 것이 결정적인 이유라는 분석이 나온다.

물론 그동안 두산이 변화에 나서지 않은 것은 아니다. 수차례에 걸쳐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두산건설 등 각 계열사의 경쟁력 사업을 매각하기도 했고, 강도높은 구조조정이나 사업부분 조정도 진행했다. 하지만 이도 급한 불 끄기에 지나지 않았고 근본적인 체질변화로는 이어지지 못했다는 평이다.

[자료=한국신용평가] 2020.04.09

두산 주변에서는 이런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이유를 총수일가의 문제로 보기도 한다. '승자의 저주'로 불렸던 두산밥캣 인수나 부실의 중심이던 두산건설 지키기는 총수일가의 고집이라고도 봐서다.

이와 관련해 전직 두산 관계자는 "중요한 결정이 총수가에서 이루어지면 경영진 누구도 그 결정에 반대할 수 없는 분위기였다"라면서 "두산건설만 놓고봐도 형제의 난 때도 봤듯이 총수가의 애착이 크다보니 누구도 목소리를 내기는 힘들지 않았겠냐"고 했다.

두산건설은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박 회장으로부터 그룹 회장직을 이어받은 박정원 두산 회장이 회장직은 맡았던 곳이다.

일각에선 두산이 시대의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가져가지 못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하기도 한다.

단적으로 재계에선 박용만 회장 주도로 1996년부터 OB맥주, 버거킹, 네슬레, KFC 등을 차례로 매각하면서 소비재에서 중공업그룹으로의 체질변화를 이뤄냈던만큼 자신의 그룹 회장직 10년을 중공업그룹 DNA를 완성하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본다.

두산은 2016년 뒤늦게 사업 다변화를 위해 박용만 회장의 장남인 박서원 전무 주도로 면세점 사업을 진행했으나 이마저도 고전끝에 3년만에 손을 떼고 말았다. 두산중공업 채권단은 현재 동대문 두타몰이 핵심인 두산의 유통사업 구조조정까지도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2007년부터 계열사에게 여러차례 고비가 있었는데 이때 과감하게 버릴건 버리고 체질변화를 했었으면 하는 안타까움이 크다"라면서 "두산중공업도 2013년 즈음부터 매출이 줄기 시작했는데 정부만 너무 바라보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할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두산이 여러모로 어렵지만 아직 늦지 않았다"며 "인프라코어 등 계열사들이 지난해부터 좋아지고 있었던만큼 이번 위기를 잘넘기면서 사업구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ikh6658@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