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국내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치료제와 백신에 대한 연구 진행이 활발한 가운데, 신속한 임상승인보다는 시간을 갖고 안전성을 검증해야 한다는 주장이 전문가들로부터 제기됐다.
박혜숙 이화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17일 개최된 'COVID19 치료제 및 백신개발 어디까지 왔나'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 같이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으로 구성된 바이러스 유사체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 [이미지=국립보건연구원] |
현재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글로벌제약사 길리어드, 바이엘, 얀센, 로슈 등이 치료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백신 역시 존슨앤존슨이 오는 11월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립보건연구원이 최근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을 지원한다고 밝힌 상태다.
이처럼 임상시험 추진에 속도가 붙는 이유는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대유행(팬데믹)하면서, 치료제와 백신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을 신속 승인할 경우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의 후유증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길리어드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나오면서, 코로나19 치료제의 조기 개발이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박 교수는 "과거 에이즈치료제도 에이즈 환자가 100만명 이상 발생하면서 신속 승인을 받은 바 있다"며 "그 결과 기존에 예상한 6개월이 아닌 16주만에 승인을 받았는데, 여러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국내에서도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추진하며 백신 자급화에 노력하고 있다. 이제 임상시험이 시작하는 단계인 셈인데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며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해야 하며 이를 국민에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결국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 초기 단계의 적극적인 개입 치료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어 그는 "초기 발견을 통해 중증환자로 진행되지 않도록 단계적인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과거 치료제와 백신 개발과정에서 신속 임상시험 승인을 추진했다가 부작용을 겪었던 사례도 소개됐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에서 수면제와 임산부의 입덧 억제제로 사용됐던 탈리도마이드가 태어난 아이들에게 대규모 장애를 일으킨 바 있으며, 1955년에는 소아마비 백신이 체내에서 약해지지 않아 대량의 환자가 발생했다.
김승민 충남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 필요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급하게 개발해 사용하면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며 " 때문에 중증질환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 등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위주로 우선적으로 치료제나 백신을 사용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