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한은 "빅테크 맞서려면 국내은행 영업규제 완화 필요"

기사등록 : 2020-04-27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자상거래 기반 빅테크 핀테크, 은행의 경쟁 상대로 부각"
저금리·저성장, 순이자마진 축소...대출수요 감소로 이어져

[서울=뉴스핌] 백지현 기자 = 국내은행이 디지털 전환에 있어 해외 주요 은행들에 비해 구조 및 비용, 인력 측면에서 제약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효과적 환경 대응를 위해서는 금융안정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영업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뒤따른다.

27일 한국은행은 4월 조사통계월보를 통해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미래와 시사점'을 발표했다.

[자료=한국은행]

한은은 최근 은행업 트렌드에 대해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하는 빅테크, 핀테크 기업이 은행의 경쟁 상대로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빅테크 기업은 아마존, 알리바바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보유한 IT기업으로, 빠르게 진출영역을 확장하며 기존 은행에 대한 직접적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저금리·저성장 추세는 은행 수익성에 부정적이다. 한은은 "저금리는 주로 순이자마진 축소를 통해 은행 수익성을 낮추는데다 저성장도 대출수요 감소로 이어져 수익성에 대한 추가 하방압력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융규제에 대해서도 은행의 안정성을 제고하고 있지만,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과의 경쟁에서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러한 환경변화 속 디지털 전환이 필수적이지만 국내은행은 대응이 아직 미흡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은에 따르면 세계 주요은행들은 아마존, 알리바바 등 빅테크 기업과의 경쟁에 대비해 클라우드 컴퓨팅, AI 등 IT 기술에 근 3년간 1조달러 가량을 투자하고 있다. 반면, 국내은행은 IT 관련 인력 비중이 줄어주는 등 더딘 상황이다.

또한 국내 엄격한 규제로 금융혁신도 제한받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진입규제벽이 높아 과점구조가 고착화됨에 따라 담보대출 위주의 포트폴리오 편중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국내은행의 자금은 주로 예수금 등을 중심으로 조달하며 부동산 등을 담보로 한 대출이 전체 자금운용 중 73.9%에 이른다. 또 수익구조가 이자이익에 편중되면서 수익성 제고도 제약되는 상태다.

한은은 국내 은행산업 전망에 대해 "핀테크 기업과 기존 은행이 공존, 협력하고 인터넷 은행과 경쟁하는 구조로 재편될 것"으로 봤다. 다양한 금융거래 디지털 플랫폼 제공,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금융상품 출시 등이 긴요하며, 고령층 및 밀레니얼 세대에 특화된 금융상품 개발과 편리한 디지털 디바이스 활용 환경 구축도 시급하다.

한은은 지속적 발전을 위해선 제도적 여건 조성이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은은 "금융안정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진입 및 영업 규제 완화와 더불어 경영 건전성 저하, 경기 순응성 심화, 신용 리스크 증대 등과 같은 잠재리스크 포착·대응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은행의 불가피한 인력 구조조정이 고용감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체계적인 직원 재교육 및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고 덧붙였다. 

lovus2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