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코로나19] 바닷길 충격 본격화…1분기 수출입 물동량 4.5% 감소

기사등록 : 2020-04-28 16:2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3월 물동량 4.8% 감소…일본·중국 교역 둔화

[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1분기 수출입 물동량이 1년 전보다 4.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해양수산부는 올해 1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은 총 3억8892만t으로 전년동기(3억9899만t)대비 2.5%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중 수출입 물동량은 총 3억3273만t으로 전년 동기(3억4824만t)대비 4.5% 감소했다. 특히 2월과 3월은 전년동월대비 각각 1.7%, 4.8% 줄어 코로나19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천=뉴스핌] 인천항 전경[사진=인천항만공사] 2020.03.29 hjk01@newspim.com

연안 물동량은 총 5619만t으로 전년 동기(5075만t)대비 10.7% 증가했다. 이는 작년 10월 인천지역의 모래 채취허가가 재개되면서 1분기 모래 물동량이 1년 전보다 530% 증가한 524만t으로 집계된 것이 주 원인이다.

주요 항만별로는 부산항과 광양항, 울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 11.1%, 0.3% 줄었으나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2.5%, 5.2%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유류는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으나 유연탄과 광석은 각각 15%, 1.8% 감소했다.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전년 동기(711만TEU) 대비 0.4% 증가한 714만TEU를 기록했다. 이 중 수출입 화물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8% 감소한 404만TEU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교역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주요 교역국인 중국·일본의 물동량이 각각 전년동기 대비 각각 0.6%, 2.2% 감소했다. 이들 국가와의 교역량은 월별로 보면 2월은 전년동기 대비 8.74% 증가했으나 3월은 1.26% 감소해 코로나19로 인한 수출입화물 감소세가 가시화되고 있다.

환적 화물은 얼라이언스 재편으로 광양항 물동량이 크게 감소했으나, 코로나19 사태 초기 중국 항만이 일시 비정상 운영되면서 선사들이 부산항에 대체 기항하는 한시적 반사 효과로 전체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305만TEU를 기록했다.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2억6249만t으로 전년 동기(2억6262만t)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주요 항만별로 보면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광양항은 감소세를 보였다.

김준석 해수부 해운물류 국장은 "글로벌 경기 악화와 항만물동량 감소 간 시차가 있는 해운항만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3월부터 코로나19의 영향이 가시화된 것으로 분석된다"며 "2분기 이후 항만별 물동량 감소폭이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onjunge0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