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연초 중국에서 전세계로 번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보다 크고, 장기화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2030년까지 미국 경제가 팬데믹 충격에 8조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떠안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는 GDP의 3%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 감염환자로부터 분리해 낸 코로나19(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바이러스 입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미국 메릴랜드주 포트데트릭의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통합연구시설(IRF)에서 사진 처리 작업이 이루어졌다. [사진=NIAID] |
아울러 이미 발표된 '슈퍼 부양책' 이외에 추가로 유동성 공급이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1일(현지시각) 미 의회예산국(CBO)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앞으로 10년간 미국 경제에 7조9000억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일으킬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부양책에도 수요 붕괴와 제조 및 소매업 마비에 따른 경기 후퇴를 돌려 놓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이와 별도로 국제통화기금(IMF)은 보고서를 내고 팬데믹 후폭풍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지구촌 교역과 생산 및 수요 붕괴에 고용 한파까지 전세계 37만명의 생명을 앗아간 바이러스의 파장이 10년 이상 지속될 수 있다는 경고다.
이 같은 의견은 월가의 투자은행(IB) 업계가 실물경기의 V자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쏟아낸 데 이어 나온 것이다.
CBO는 보고서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를 포함한 바이러스 확산 방지책이 민간 지출을 압박하는 한편 에너지 가격 폭락으로 인해 관련 업계의 투자 역시 크게 후퇴할 전망"이라며 "재정 및 통화정책 측면의 부양책이 충격을 일정 부분 완화할 수 있지만 진화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최근 10주간 미국 실직자가 40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이번주 공개되는 5월 실업률은 2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2분기 미국 GDP 성장률은 역대 최대폭으로 후퇴할 전망이다. 최근 도이체방크는 미국 경제가 2분기 연율 기준 39%에 달하는 역성장을 기록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CBO는 이날 보고서에서 2분기는 물론이고 미국의 장기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CBO는 또 "올해와 내년 팬데믹의 후폭풍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고, 부양책의 효과 역시 판단하기 쉽지 않다"며 "잠재 리스크와 불확실성이 기존의 전망치를 훼손시켰다"고 설명했다.
한편 IMF는 과거 전염병 팬데믹 사태를 근거로 볼 때 이번 코로나19 역시 지구촌 경제와 금융시장에 장기적인 충격을 남길 것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과거 10만명 이상 사망자를 낸 15건의 팬데믹 당시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이른바 중립 금리 수준이 상당폭 하락하는 한편 저금리 수준이 5~10년 지속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IB 업계에서도 잿빛 전망이 나왔다. BTIG는 투자자들에게 뉴욕증시의 15~20% 급락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팬데믹 사태에 이어 이른바 '흑인 사망'에 따른 과격 시위와 사회적 동요가 맞물리면서 거시경제 리스크가 더욱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KBW도 대규모 과격 시위로 경제 활동 재개가 지연될 여지가 높다고 판단,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 부양책이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