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회사채 발행이 3월 하순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연초 이후 발행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섰다.
회사채를 매입하려는 투자자들이 홍수를 이루면서 올들어 발행액이 사상 최고치 기록을 세웠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른바 '연준 효과'라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전례 없는 회사채 및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매입으로 유동성을 공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충격에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기업들조차 대규모 자금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월가는 후폭풍을 경고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유동성이 펀더멘털 측면의 균열을 상쇄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연준이 채권시장에서 발을 빼기 시작할 때 충격이 한꺼번에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28일(현지시각) 딜로직에 따르면 연초 이후 미국 기업들이 발행한 회사채 물량이 1조2000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에 해당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8% 급증한 수치다. 발행 열기가 뜨거웠던 지난해에도 1조달러 돌파는 11월에 이뤄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연준의 적극적인 신용시장 개입과 3월 하순 회사채를 포함한 대규모 자산 매입 발표가 회사채 시장에 훈풍을 몰고 왔다는 분석이다.
연준은 코로나19 팬데믹에 기업들이 벼랑 끝 위기에 내몰리자 7500억달러 규모로 회사채를 매입하기로 했다.
연준은 2주 전 채권 ETF를 사들였을 뿐 개별 회사채 매입에 아직 나서지 않았지만 기업과 투자자들은 이미 돈잔치를 벌이는 모습이다.
지난 3월 석유 업체 엑손 모빌과 통신사 버라이존이 총 120억달러 규모로 회사채를 발행했고, 코로나19 사태에 직격탄을 맞은 보잉도 채권시장에서 자금을 확보했다.
제이 크루와 니만 마커스 등 기업들 파산이 꼬리를 물고 있고, 무디스를 포함한 신용평가사가 디폴트 급상승을 경고하고 있지만 회사채 시장의 폭주에 제동이 걸리지 않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의 개입으로 인해 시장에 본질적인 변화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정책자들이 특정 가격대를 미리 정하지 않은 채 회사채 매입에 나서기로 결정, 사실상 마켓메이커 역할을 자처한 셈이고 예기치 않은 큰 손의 등장에 기존의 시장 매커니즘이 영향력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기업들 레버리지가 가뜩이나 한계 수위에 이른 상황에 무더기 발행이 후폭풍을 일으킬 것이라는 경고다.
T. 로우 프라이스의 스티븐 부스 투자등급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현금 흐름이 떨어지고 있어 레버리지가 더욱 상승할 것"이라며 "경기 회복이 완만하고 더딜수록 대규모 회사채 발행에 따른 신용시장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연준이 예고한 물량만큼 회사채를 사들이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턴 반체의 스테이시 스타너 칼리스터 투자등급 회사채 리서치 헤드는 "연준의 구두 개입 만으로도 회사채 입찰 수요가 매우 강하고, 정책자들이 실제로 7500억달러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2개월 사이 투자등급 회사채 스프레드가 200bp(1bp=0.01%포인트) 가까이 하락했고, 이에 따라 전반적인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하락했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