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지자체

'그린뉴딜 밑그림'…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 본격 구축

기사등록 : 2020-06-12 10: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취수에서부터 수도관 파손 대응까지 인공지능으로 관리하는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사업이 본격 착수된다. 문재인 정부 집권 후반기 주요 국정과제인 '그린뉴딜'의 첫 발걸음이 떼어지게 되는 셈이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환경부는 이번 3차 추가경정예산에 즉시 착수가 가능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구축'을 포함했다.

스마트관리 도입 대상은 정수장과 조류 발생 위험이 높은 취수원을 비롯한 48개 광역 및 공업용수도 시설이다.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정수처리용 약품 투입을 자동화하고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등이 가능한 지능형 정수장 구현기술이다.

[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자료=환경부] 2020.06.12 donglee@newspim.com

사업이 완료되면 정수장의 자동화 및 정밀 운전으로 정수장의 최적 운전이 가능해진다. 실수로 인한 사고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가 도입되면 취수에서 정수생산 및 공급까지 수질 및 누수 관리는 물론 수도관 파손 또는 수질 오염사고 등에 대한 위기대응 체계가 강화된다.

환경부는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시행에 앞서 환경부 차관이 현장 점검에 나서며 사업 준비에 착수했다. 홍정기 차관은 이날 오전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경기 화성시 화성정수장을 점검했다.

화성정수장은 화성시 및 평택시에 생활용수 17만8000㎥/일을 공급하는 시설로 지난 2016년 고도정수공정 도입을 끝내고 운영 중이다. 이 자리에서 홍정기 차관은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의 일환으로 2023년에 완성될 예정인 '인공지능(AI)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 사업추진 계획을 보고받고 해당 시스템이 도입될 시설을 둘러본 뒤에 근무자들을 격려했다.

홍정기 차관은 "그린뉴딜의 중요한 축을 맡게 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경제에 큰 활력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dong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