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은행, '고객신뢰' 회의적…디지털시대 경쟁력 부족"

기사등록 : 2020-06-23 17:2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3일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개최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은행이 디지털 시대에 가질 수 있는 경쟁력은 고객으로부터의 '신뢰'에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윤현철 금융위원회 은행과 사무관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해 "은행업은 필요하지만 은행은 필요하지 않다는 빌게이츠의 예언이 현실화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2020.06.23 한국금융연구원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

윤 사무관은 "디지털화가 가속되면서 빅테크 같은 새 경쟁자의 유입으로 경쟁이 격화될 것"이라며 "은행이 빅테크에 비해 거래 편의성이 더 나아지기 힘들다 가정할 때, 은행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고객의 신뢰에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작년부터 발생한 파생결합펀드(DLF), 라임 등 사태를 감안할 때, 은행권이 그 동안 고객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왔는지는 회의적이라는게 그의 판단이다.

윤 사무관은 "3저 현상(저성장·저금리·저출산)이 심화돼 이자마진이 줄자 은행은 비이자 수익 확대를 위해 고위험·고수익 상품을 많이 팔았다. 이 과정에서 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미비해 금융사고가 발생했고 금융권 신뢰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꼬집었다.

3저 현상이 더욱 고착화되고, 디지털화는 가속화되는 상황에서는 은행권에 더 빠른 변화가 요구될 것으로 관측된다. 해답은 '신뢰'에 있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토스 사례에서 보듯이 소비자 신뢰가 없으면 안 된다"며 "금융 안정성과 보안 유지는 기술과 혁신 못지않게 지켜야할 가치다. 내부통제 시스템을 어떻게 갖춰 고객신뢰를 얻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는 윤 사무관 외에도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부 교수, 김윤주 BCG 파트너, 한동환 KB국민은행 디지털금융총괄 부행장이 참여했다. 

milpar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