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SK바이오팜이 상장 후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 우리사주를 배정받은 직원들이 소위 '대박'이 났다.
다만 1년간 보호예수에 걸려 있어 당장 팔 순 없는 상황으로, 퇴사를 하는 경우 차익 실현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주가만으로 보면 가치가 크게 상승했지만, 1년 후 주가 향방에 따라 수익 여부 및 그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과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과 우리사주 등은 어땠는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SK바이오팜은 전날 대비 3만8000원(29.92%),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16만5000원으로 마감했다. 이틀 연속 상한가다. 데뷔 이틀 만에 공모가의 3배 이상(237%) 뛰었다.
자연스레 우리사주를 배정받은 SK바이오팜 직원들의 보유주식 가치도 급증했다.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우리사주 배정 물량은 244만6931주로, 직원이 200명 가량임을 감안하면 1인당 평균 약 1만2000주를 갖게 됐다. 현 주가 기준 1인당 19억8000만 원이다. 상장 이틀 만에 14억 원 가까운 평가이익을 거두고 있다.
다만 우리사주는 1년간 보호예수 기간이 있어 지금 매도할 수는 없다. 우리사주를 가진 직원들이 보호예수 기간 1년 안에 차익 실현을 하려면 퇴사해야 한다. 한 상장사 관계자는 "그런(회사 주가가 좋을 때 퇴사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어 왔다"고 전했다.
[로고=SK바이오팜] |
상황이 이렇게 되자 SK바이오팜 상장과 함께 비교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례도 주목받고 있다. 2016년 11월10일 상장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장을 위해 공모가 13만6000원에 우리사주를 발행했다. 상장 초기 상승세를 이어가기는 했지만 SK바이오팜과는 다르게 '대박' 수준까지는 아니었다.
한동안 17만원 중반에서 움직이던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우리사주 보호예수 기간이 끝나는 시점이 다가오면서 오르기 시작했다. 상장 1년이 되는 날 37만5500원으로 우리사주 청약 가격의 3배 가까이 상승했다. 하지만 보호예수가 끝나자마자 판 직원이 있다면 후회가 클 것으로 보인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현재 주가는 77만 원까지 뛰었다.
그렇다면 1년 후 SK바이오팜의 주가는 어느 쪽을 향하고 있을까. 일단 금융투자업계의 전망은 대체로 낙관적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상장을 앞둔 지난달 보고서에서 SK바이오팜의 목표주가를 32만 원으로 제시했다. 최정욱 연구원은 "SK바이오팜은 중추신경계 질환을 타겟으로 한 신약개발전문기업으로 이미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은 신약을 2개나 보유하고 있다"며 "SK바이오팜 기업가치는 최소 6조10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공모가액밴드(3만6000~4만9000원) 기준 기업가치는 2조8000억~3조8000억 원 수준에 불과해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의 관심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실제 지난달 17일과 18일 이틀간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SK바이오팜 수요예측 결과, 국내외 총 1076개 기관이 참여해 835.6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뜨거운 열기에 공모가는 희망밴드 상단인 4만9000원으로 확정됐다.
SK바이오팜은 1993년 SK그룹의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신약 연구 개발을 시작했다. 회사 측은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부터 글로벌 임상 시험, FDA 신약 판매 허가 신청까지 국내에서는 최초로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해 차별화된 신약개발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자평했다. 최근 미국에 출시한 독자개발 신약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 XCOPRI)와 솔리암페톨(수노시, Sunosi)이 FDA 시판 허가를 받았다. 그 외 중추신경계 질환 및 항암 분야의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데, 현재 총 8개 파이프라인을 보유 중이다.
현재 기준 실적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상 SK바이오팜은 올해 545억 원의 매출에 2021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도 그 규모는 조금 줄지만 각각 810억 원, 648억 원의 영업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예상 매출은 2021년 2574억 원, 2022년 2547억 원이다.
구자용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뇌전증 엑스코프리는 신약 개발부터 허가, 판매까지 독자적으로 진행한 최초의 국산 신약으로 1조 원 이상의 매출 달성이 기대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라며 "SK바이오팜의 상장을 앞두고 2종 신약의 시장성을 우려하는 의견도 존재하지만 시장 상황과 제품의 경쟁력, 판매 전략을 고려하면 블록버스터급의 매출 전망치를 달성할 가능성은 높다"고 판단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2개의 시판 약물과 1개의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매출액은 2030년까지 최소 1조80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다만 목표주가 수준은 현 주가보다 낮다. 그는 "주가매출비율(PSR) 5.0배를 적용하면 SK바이오팜의 적정시가총액은 9조 원, 주당 11만 원"이라고 덧붙였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