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LG화학-GS칼텍스 '맞손'…빅데이터 활용 전기차 배터리 특화서비스 개발

기사등록 : 2020-07-07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기차 충전소서 안전 진단·스마트 충전·잔존 수명 예측 등 원스톱 지원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LG화학과 GS칼텍스가 전기차 업계 파트너들과 손잡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기차 배터리 특화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7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시그넷이브이, 소프트베리, 케이에스티 모빌리티, 그린카와 함께 '충전 환경 개선 및 신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전기차 생태계 발전을 위한 충전 솔루션 개발 필요성에 뜻을 같이하고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배터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업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 모델 [사진=LG화학] 2020.07.07 yunyun@newspim.com

이날 체결식에는 LG화학 자동차전지사업부장 김동명 부사장,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 김정수 전무, 시그넷이브이 황호철 대표, 소프트베리 박용희 대표, 케이에스티 모빌리티 이행열 대표, 그린카 김상원 대표를 비롯한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충전소에서 수집한 전기차 빅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배터리 특화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LG화학과 GS칼텍스는 우선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를 개발하기로 했다.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는 전기차(그린카, 케이에스티 모빌리티)가 GS칼텍스 충전소에서 충전중 주행, 충전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해 LG화학 빅데이터 분석, 배터리 서비스 알고리즘을 통해 배터리 상태와 위험성을 확인하는 서비스다. 해당 내용은 충전기(시그넷이브이)와 운전자 휴대폰(소프트베리)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양사는 2021년까지 실증 사업을 완료해 국내 서비스 사업을 런칭하고 2022년부터 해외 충전 시장으로 배터리 특화 서비스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충전 환경 개선 및 신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참여업체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케이에스티 모빌리티 이행열 대표, 그린카 김상원 대표, LG화학 김동명 부사장, GS칼텍스 김정수 전무, 시그넷이브이 황호철 대표, 소프트베리 박용희 대표 [사진=GS칼텍스] 2020.07.07 yunyun@newspim.com

추후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를 기반으로 배터리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충전 및 잔존 수명 예측 등의 신규 서비스도 발굴하기로 했다.

김동명 LG화학 자동차전지사업부 부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전기차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전기차 배터리 제품 경쟁력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수 GS칼텍스 실장은 "전기차 충전사업은 더 빠르고 더 편리한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충전소를 거점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차량 진단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며 "전기차 생태계 파트너들과 유기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