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거대 기술기업들, 홍콩 철수냐 고수냐 '갈팡질팡'

기사등록 : 2020-07-09 17:1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틱톡 홍콩 철수 왜?...평판 위험, '더 작은 시장' 포기한 것

[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애플,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등 거대 기술기업들이 최근 홍콩보안법이 도입되면서 홍콩 철수 여부 결정을 두고 갈팡질팡하는 모습이다.

무역협상과 코로나19 발원지를 두고 촉발된 미국과 중국간의 대립의 격화된 가운데 홍콩 철수는 중국 시장을 포기하는 것이고, 철수 하지 않으면 중국의 규제를 수용하는 셈이어서 표현의 자유와 개인정보 보호 원칙으로 쌓아온 사용자 신뢰에 금이 가기 때문이다.

홍콩의 상황은 향후 미국과 중국 간의 '디커플링'의 축소판으로 평가되고 있어 거대 기술기업들도 양자 택일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최근 거대 기술기업들은 최근 홍콩보안법 도입되면서 홍콩에도 중국수준의 인터넷 감독 등이 시행될 예정이라 이들 테크기업들이 홍콩에서 철수 여부를 조만간 결정해야 하는 입장이다.

불과 얼마전만 해도 미국 거대 기술기업이라면 예외없이 중국으로 진입하기를 원했다. 10억 인구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중국을 향한 전초기지가 홍콩이었다. 홍콩은 중국에 접해 있지만 중국의 법 통제에서는 벗어날 수 있는 곳이다.

◆ 홍콩 철수는 곧 중국 시장 포기

페이스북의 경우만 해도 중국 본토에서 운용되지 않고 있고 홍콩 사용도 전세계 사용자의 0.3%에 불과하지만 중국을 향한 광고 수입이 많아서 아시아지역 수익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홍콩에서 중국 본토 시장을 넘보며 칼을 벼르고 있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지난주에 상황은 완전히 변했다. 홍콩보완법이 적용되면서, 페이스북, 구글, 트위트,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홍콩 정부에 이용자 정보 제공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을 상징하는 소셜미디어(SNS) 애플리케이션 '틱톡(TikTok)'이 스스로 홍콩 시장에서 물러났다. 최근 벌어진 일련의 사건을 고려해 홍콩에서 틱톡 앱을 운영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는 것. 행간을 보면 '일련의 사건'이란 중국이 홍콩 내 반중(反中) 활동을 처벌하는 홍콩보안법을 제정한 일을 애둘러 표현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틱톡은 올해로 창업 7년째인 중국 스타트업 바이트댄스가 만든 '15초 남짓한 동영상 공유' 앱으로 전 세계 10~20대 사이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틱톡은 미국 시장을 잃기 싫은 것이다. 해서 미국의 개인정보 보호 등에 대한 법률과 표현의 자유 등에 적합한 운영 원칙을 틱톡은 고수해왔다.

틱톡의 홍콩 철수 하루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틱톡 등 중국 소셜미디어를 미국에서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보안법 시행에 맞춘 발언이었다.

미국의 틱톡 사용자는 약 4000만명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홍콩의 틱톡 사용자는 15만이다.

바이트댄스는 홍콩에 중국 본토에서 운영되는 '중국판 틱톡' 도우인(Douyin)을 대체 상품으로 내놓으면 그만이다.
하지만 표현의 자유의 원조인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사정이 좀 다르다. 홍콩에서 철수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철수해도 규제에 대항하지 못하고 '표현의 자유'를 포기하는 셈으로 미국을 포함한 서구 사용자들의 신뢰성이 무너진다는 의미다.

더구나 정보제공 '중단'은 문제의 근본적 해결도 아니다. 홍콩의 변호사 안손 왕 유예는 "기술기업들이 내놓은 정보제공 중단은 '법적 의미'에서 합당한 반은이라 볼 수 없고, 법적으로는 단순한 외국기업의 운영원칙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애플도 상황을 검토하는 중이라고만 해놓고 있다. 단순정보가 아니라 건강정보까지 관련이 되는데도 상대적으로 관심의 초점에서는 비켜나 있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본토 매출이 440억달러(약53조원)으로 결코 잃을 것이 작지 않다.

◆ 새로운 동서 대결…"디커플링은 정해진 길"

거대 기술기업들은 개인정보 보호문제와 관련해 항상 도전을 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들 기업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있다.

반면 지난주 도입된 홍콩보안법은 정보보호와 그 원칙 준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서방의 노력을 훨신 능가하는 위력을 보이고 있다.

캐리 람 홍콩 홍콩 행정장관은 지난주 홍콩보안법과 관련해 "이 법의 목적은 분리·독립 활동, 국가 권력의 전복, 테러 행위,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외부 세력과의 공모 등을 예방, 억제, 처벌하는 것"이라면서 "이 법은 법을 위반한 극소수의 사람들만 대상으로 하고 홍콩 거주자의 압도적 다수의 생명과 재산, 기본권, 자유는 보호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중국이 더 이상 홍콩 법 적용을 허용하지 안을 것이라는 것은 명백해졌다. 지금 홍콩에서 벌어지는 상황은 곧 세계적인 추세의 축소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세계는 전망이 서로 다른 두개의 시스템 즉 미국 주도의 서방과 중국으로 나뉘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의 시스템 중심에서 정보와 감시 기술, 그리고 그 산업의 미래 등에서 지배력을 가지려 한다. 미국과 중국이 디커플링되면서 새로운 동-서 대결이 시작되는 것이다.

FT는 "과거 10여년간 중국은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인트타그램을 막아왔고 그러면서 자체 기술로 중국시장을 점령하는 거대 기술기업을 탄생시켰다"며 "중국은 이제 이를 발판으로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고 관측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00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