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코로나19로 비대면(언택트) 수요가 늘어 디지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K-웹툰이 날개를 달았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디지털 만화(웹툰) 세계 1위 시장인 일본에서 점유율 70%를 합작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앞으로 양사의 지식재산권(IP) 경쟁은 일본을 넘어 세계 무대로 판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미 네이버는 북미 시장을, 카카오는 동남아를 중심으로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앱애니에 따르면 지난 6월 라인망가, 픽코마 등 K-웹툰 플랫폼이 일본 디지털 만화 시장에서 매출 기준 70%의 점유율을 합작했다. 이 기간 네이버의 라인망가, 카카오의 픽코마, NHN의 코미코는 각각 점유율 38%, 28%, 4%를 기록했다.
[서울=뉴스핌] 정윤영 기자 = 네이버의 라인망가(좌)와 카카오의 픽코마(우). [제공=APK] 2020.07.14 yoonge93@newspim.com |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0년 디지털 만화 시장은 일본이 4조5410억원으로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2위 미국(약 1조7925억원)에 3배에 달하는 규모다. 반면, 한국 시장은 1조5535억원으로 미국을 추격하고 있다.
한국 K-웹툰 플랫폼이 '세계 1위' 규모에 해당하는 일본 시장에서 1위 자리를 놓고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헤당 기관 관계자는 "ICT기술의 발달로 세계 디지털 만화 시장은 높은 성장을 하고 있고, 국내 웹툰 플랫폼이 아시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 중"이라고 설명했다.
◆ 쫓는 픽코마 vs 쫓기는 라인망가...K-플랫폼은 '세계 1위' 시장서 경쟁중
앱애니에서 발표한 수치만 놓고 보면, 네이버(라인망가)는 카카오(픽코마)보다 점유율이 높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네이버는 현재 후발주자에 거센 추격을 당하는 상황이다.
라인망가는 지난 2013년 출시돼 '일본 1위 메신저' 라인 브랜드를 앞세워 시장을 선점했는데, 3년후인 2016년 출시된 픽코마가 4년만에 라인망가를 점유율 10%차로 추격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픽코마가 라인망가를 빠르게 추격할 수 있던 이유로 '콘텐츠 차별화'를 지목한다. 라인망가와 달리, 픽코마는 말그대로 일본 시장에 먹힐 수 있도록 국내 콘텐츠를 선별해 일본 독자들에 눈높이에 맞춰 각색과 재구성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이런 노력을 바탕으로 픽코마 내 한국 작품은 전체 2~3%에 불과하지만, 매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픽코마가 이미 라인망가를 추월했다는 주장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간에 따라 라인망가와 엎치락 뒤치락 하고 있다. 매출 뷰(view) 수 등 어느 기준에 따라 집계를 하느냐에 따라 픽코마도 1위를 한적이 있다"고 귀띔했다.
증권업계에서는 픽코마의 두드러진 성과를 바탕으로 카카오 웹툰 사업 가치를 10조원까지 전망하고 있다.
김장권 미래에셋대우 애널리스트는 "한국 시장의 안정적 성장과 일본 시장 추가 확대 등이 가시화된다면 2022년 내 카카오 웹툰 산업 가치가 10조원대까지 갈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 세계로 뻗는 네이버·카카오 웹툰...미국, 동남아 등 타깃도 제각각
이미 세계 1위 시장에 발을 담근 네이버와 카카오는 이제 해외 시장으로 판을 키운다. 네이버 웹툰은 지난 5월 웹툰 사업의 본사 위치를 미국으로 낙점했다.
네이버 웹툰은 지난 2017년 네이버 자회사로 독립, 현재 네이버의 웹툰 사업 법인은 한국의 네이버 웹툰을 포함해 웹툰 엔터테인먼트(미국), 라인 디지털 프런티어(라인망가), 와통 엔터테인먼트(중국) 등으로 구분 된다.
네이버 웹툰측은 "네이버웹툰은 미국 시장을 거점으로 유럽, 남미 등으로 웹툰 저변을 빠르게 확대하는 것은 물론, 전 세계에서 강력한 콘텐츠 기업들과 IP비즈니스를 추진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핵심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웹툰 작품들도 다양한 형태로, 많은 언어권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네이버가 웹툰 사업 본사를 미국으로 옮긴 이유는 글로벌 IP 콘텐츠 플랫폼으로 자리잡기 위함이다. 일본은 디지털 만화 시장이라 할지라도, 미국은 세계 IP 산업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는 콘텐츠 경쟁력을 갖고 있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중심지인 북미권에서 웹툰을 발판으로 디지털 비즈니스의 주도권 싸움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카카오는 북미 진출을 눈여겨보면서도 우선을 동남아를 중심으로 영향력을 펼치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이미 몇해전부터 동남아권 콘텐츠·플랫폼 기업 인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2018년 베트남 모바일 플랫폼 광고기업 애드소타에 10억원을 투자했다. 카카오페이지 역시 같은해 인도네시아 콘텐츠 기업 네오바자르를 인수했고, 중국 기업과의 연대도 강화하고 있다.
카카오가 동남아 공략을 강화하는 것은 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동남아의 인터넷산업 시장 규모는 720억달러(약 86조원)에서 2025년에는 3배를 웃도는 2400억달러(약 288조원)로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다만 북미 진출과 관련해서 관계자는 입장을 자제했다. 카카오 측은 "픽코마도 북미쪽 진출 계획을 하고 있기는 하다"면서도 전략이나 시기 등과 관련해서는 함구했다.
이진수 카카오페이지 대표는 "세계에 한국 콘텐츠인 'K스토리 IP'을 유통하는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내실 있는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오랜 시간 투자해왔다"며 "일본 시장을 거점으로 올해 글로벌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의지를 내비쳤다.
한편,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2019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웹툰의 글로벌 거래액이 사상 최초로 1조원을 돌파, 전년 대비 13.6% 성장했다.
yoonge9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