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하반기 정부의 저가항공사(LCC) 지원 방침에도 기업들의 불안감은 가시지 않고 있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비상경영에 들어간 LCC들에게 추가적인 자구책을 요구하는 것이 부담이다. 티웨이항공은 자구책의 일환으로 유상증자를 추진했지만 실패했고, 제주항공 역시 유증 흥행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업황 부진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단기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하기보다 국제선 일부 재개 등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비용항공사들 [사진=뉴스핌DB] |
4일 항공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최근 LCC를 대상으로 회계법인 실사를 진행해 내년 1분기까지 필요한 자금 규모를 확인했다. 조만간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지원방법 등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LCC업계는 일단 관련 진행상황이 나온 것 자체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스타항공 사태에 이어 티웨이항공까지 유상증자에 실패하는 등 불안감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방침이 단기적인 대응에만 머무르는 데 대해 우려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항공업황이 최소 2년 최대 4년까지 불안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정부는 여전히 단기적인 대응으로만 접근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처럼 코로나19 대응이 가능한 국가 간 교류를 확대하는 등 기업들이 숨통을 틀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상황은 항공사가 못해서라기보다는 외부환경 때문인데, 기간산업으로 각종 규제를 받게 하면서 외부 요인에 대한 고려는 적은 것 같아 아쉽다"고 덧붙였다.
산업은행이 LCC 업체들의 자구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 역시 현실을 외면한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어려운 회사들은 기본적으로 자구노력이 필요하고, 내부 심사를 통과한 기업들만 지원이 나간다"며 "상반기 LCC 지원시에도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이스타항공과 플라이강원을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조건만 만족하면 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한항공, 아시아나 등 대형항공사(FSC)들과 달리 LCC들은 매각할 보유 자산이나 자회사가 전무한 상태다. 3월부터 시행해온 유급·무급휴직이나 국내선 운항을 통한 고정비 커버 등이 유일한 자구안인 상황에서 추가로 비용 절감할 수단이 사실상 없다는 것이다. 동시에 정부는 지원을 전제로 인력구조조정을 금지하고 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현재 항공사들은 최대치로 자구 노력을 끌어올린 상태"라며 "비행기를 줄이면 잉여 인력이 생기기 때문에 사람을 줄여야 할텐데 그럴 수도 없다. 인건비 줄이고 최대한 적자라도 보완하자는 취지로 국내선 돌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LCC들의 이런 상황을 고려할 거란 분석도 나온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LCC들의 자구책은 휴직과 급여반납 수준인데 현재도 이미 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을 감안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자구안의 일환으로 유상증자를 추진했던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역시 전망이 어두운 만큼 LCC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티웨이항공은 최대주주인 티웨이홀딩스가 지분율 수준도 청약을 참여하지 못해 유증이 무산됐다. 다음주 청약을 앞둔 제주항공 역시 업황 불안과 이스타항공 인수 무산으로 인한 계약금 문제 등이 겹치면서 청약이 저조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