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홍콩서 외국인들 '엑소더스' 금융 허브 위태

기사등록 : 2020-08-07 00:4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홍콩의 해외 거주자들 이탈이 급물살을 이루고 있다. 

금융권부터 IT 업계까지 글로벌 기업의 인력들이 홍콩을 빠져나가는 한편 신규 인력 유입이 마비된 상황. 중국의 홍콩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정치적, 경제적 통제가 강화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해외 인력 이탈은 외식업계부터 학교까지 곳곳에 직간접적인 충격을 일으키고 있고, 홍콩의 금융 허브 입지를 위협하는 모습이다.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홍콩을 해방하라. 더이상 지체하지 말라'(Free Hong Kong. Delay No More)고 적힌 깃발을 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6일(현지시각) 홍콩 이민국에 따르면 해외 인력의 전문직 비자 발급이 올해 상반기 771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9756건에서 60% 이상 급감했다.  

뿐만 아니라 리크루트 업계는 해외 신규 인력 유치가 대폭 줄었다고 전했다. 외국인들 사이에 홍콩 근무를 꺼리는 움직임이 두드러진다는 얘기다.

아울러 홍콩에서 근무하는 해외 인력들이 고국이나 그 밖에 다른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아 나섰다고 리쿠르트 업계는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와 함께 이른바 홍콩보안법 도입에 따른 중국의 통제가 맞물리면서 해외 인력이 엑소더스를 이루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대규모 시위가 끊이지 않으면서 비즈니스의 정상적인 가동이 막힌 것은 물론이고 신변의 안전까지 위협 받자 홍콩을 떠나는 이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파장은 광범위하게 번지고 있다. 외국인 학생 의존도가 높은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은 올해 신입생 등록이 크게 줄었다고 털어 놓았고, 호텔과 외식업계 및 아파트 시장까지 충격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금융업계의 인력 재배치가 활발하다.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IB) 업계는 홍콩보안법에 따른 비즈니스 제약을 우려해 홍콩 인력을 싱가포르를 포함한 다른 지역으로 옮기고 있다.

도이체방크의 아시아 태평양 부문 대표는 홍콩이 아닌 싱가포르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지난 10여년간 아시아 총괄 대표는 홍콩에 거주했지만 보안법 사태 이후 노선을 수정한 것.

크레디트 스위스(CS)와 UBS 그룹 역시 아시아 부문 대표의 근무지를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변경했다. 고위 경영진 이외에 전문 인력들 역시 홍콩 이외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다.

캐나다 국적의 한 IB 종사자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익명을 요구한 인터뷰에서 "9월까지 가족과 함께 싱가포르나 북미 지역으로 이동할 예정"이라며 "중국과 홍콩의 정치적 마찰로 인해 과격 시위와 사회적 동요가 끊이지 않고 있어 홍콩에 계속 거주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지난 2016년부터 홍콩에서 근무한 그는 최루탄 가스와 폭력이 일상이 된 곳에서 한 살배기 아이를 기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털어 놓았다.

15년간 홍콩의 금융권에 몸담았던 존 프래트 애널리스트 역시 "보안법 시행 이후 단어 한 가지, 말 한 마디도 자유롭게 할 수 없게 됐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6년 전 가족과 함께 홍콩으로 이주한 미국인 변호사 올리비아 밀켄은 네 아이와 함께 남편의 고향인 캐나다로 떠날 예정이다.

정치적 리스크와 사회적 동요로 인해 일상이 사실상 무너졌다는 지적이다. 지난 2월 팬데믹 사태로 홍콩 정부가 학교를 폐쇄했을 때 이미 네 아이들을 캐나다 학교로 전학시킨 상태라고 밀켄 변호사는 전했다.

홍콩의 인구는 750만명. 이 가운데 외국인 거주자는 70만명을 웃돈다. 전체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는 외국인이 빠져나갈 경우 홍콩의 실물경기가 위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금융 허브 입지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higrace5@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