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거리두기 2.5단계에…자동차 판매왕은 '개점휴업'

기사등록 : 2020-08-31 13:3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코로나19발 경제 위기 실감..."하루종일 고객 1팀"
월 급여 400만원대에서 절반으로 줄어들 판

[서울=뉴스핌] 김기락 기자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부터 최근까지 전시장 방문 고객이 절반 이하로 급감했습니다".

서울 강남의 한 완성차 전시장. 이곳 근무하는 영업사원 A씨는 영업활동의 어려움을 이같은 말로 토로했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얼마나 더 길어질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당장 다음달 6일까지 사실상 거리두기 2.5단계 조치가 시행되면서 소비자와 최접점에서 만나야 하는 영업사원의 속을 타들어만 간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0.08.24 peoplekim@newspim.com

 ◆ "거리두기 2단계 이후 전시장 방문자 급감"

3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서울·수도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완성차 전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수가 감소해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한 지난 15일부터 최근까지 방문자가 급감한 것이다.

'자동차 판매왕' 이력이 있는 A씨는 "전체적으로 보면 전시장 내방 고객이 50% 이상 줄었다"면서 "자동차 내수 시장이 올해 상반기까지 괜찮았는데, 이달 들어 한풀 꺾이게 됐다"고 말했다.

또 다른 완성차 업체 영업사원인 B씨는 "코로나19 여파에 7월까지만 해도 전시장 일일 방문 고객수가 5~6팀으로 줄었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 이후 하루에 1팀만 방문한 적도 있다"며 "수천만원에 달하는 자동차 특성상, 비대면 영업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사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지난 14일 103명로 100명대로 증가한 뒤, 26일 441명 정점을 찍고 감소세를 타고 있다. 이날 코로나19 확진자는 248명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영업사원들은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될 경우 대면 감소에 따른 판매 실적 저하로 급여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를 따르면서도, 소비자와 대면 없이 판매해야 하는 상황인 영업사원들의 고충이 더욱 커질 것이란 얘기다.

외국계 완성차 회사 영업사원 C씨는 "본사 직영점이 아닌 판매 대리점의 경우 월 3~4대 판매하면 급여가 400만~500만원 정도인데, 월 1~2대로 판매량이 줄어들 것 같다"며 "판매 감소는 곧 급여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 "온라인 신차발표에 신차 효과↓...홍보·마케팅 전면 수정해야"

완성차 업체는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재택·유연근무제 확대 ▲전 직원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방역수칙 준수 실행 등 개인적 방역 지침을 강화했다. 또 국내·외 출장, 집합교육, 단체 회의 전면 금지, 외부인 출입통제 등을 시행 중이다.

상반기 현대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는 코로나19에도 내수 시장에서 선방하며 수출 부진과 해외 판매 감소를 만회했다. 현대차를 비롯해 기아차, 한국지엠(GM),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같은 기간 내수 시장에서 현대차는 38만4613대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0.1% 늘었고 기아차도 14.6% 증가한 27만8287대를 기록했다. 한국지엠은 4만1092대로 15.4%, 르노삼성차는 51.3% 각각 올랐다.

정부의 개별소비세 감면(70%) 혜택 등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판매 감소세를 최소화할 수 있었으나, 7월부터 개소세 감면폭이 30%로 축소된 데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게 됐다.

이는 완성차 뿐만 아니라 수입차도 마찬가지다. 수입차 관계자는 "주요 신차를 온라인으로 발표하는 탓에 신차 효과가 크지 않다"며 "영업사원 외에 본사 차원에서도 향후 마케팅·홍보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종료되더라도 그 여파가 9월 이후로도 이어질 것이란 설명이다. 

자동차 업계는 올초 코로나19가 불거진 이후 비대면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 현대차는 해외 판매 및 수출 회복을 위해 미국 등 주요국에 온라인 판매 플랫폼인 '클릭 투 바이(Click to Buy)'를 운영하는가 하면, 기아차도 유럽 등에 비대면 판매 채널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지엠은 소비자가 차량 견적 외에도 할인 등 세부 사항까지 입력할 수 있는 쉐보레 'e-견적 상담 서비스'를 시행 중이고, 르노삼성차도 홈페이지에서 상세견적 및 구매청약을 받고 있다.

BMW코리아는 수입차 업계 최초로 비대면 전자계약시스템인 '디지털 세일즈 플랫폼'을 선보였으며, 아우디코리아는 비대면 영상 상담 서비스를 시행하는 등 비대면 판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peopleki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