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9-01 10:21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5대 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해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이 청와대를 찾아 '한국판 뉴딜'에 대해 논의한다. 또 한 번의 지원 요청이 예상되면서 금융권 부담이 커지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3일 청와대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1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가 개최된다.
뉴딜펀드는 지난 7월 정부가 한국판 뉴딜 관련 사회간접자본에 투자할 재원 마련을 위해 조성하기로 한 인프라 펀드다.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이 드는 한국형 뉴딜에 필요한 재원의 약 10%를 조달할 목적으로 추진한다. 수익률 3%가 목표이며, 개인 투자자도 공모로 참여할 수 있다.
이번 논의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뉴딜펀드 관련 향후 금융권에 주어질 역할이다. 금융권에서는 뉴딜펀드의 원금손실 우려를 덜고 목표 수익률인 3%를 최대한 맞추기 위한 역할이 주어지지 않겠냐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또 지난 4월에는 청와대가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 간담회'를 열고 금융권 CEO들을 만났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현장에서 금융권에 "코로나19로 어려움에 빠진 사람들에 적시적소에 대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특히 금융권도 코로나19로 건전성 관리에 예민한 상황이다. 올 6월 말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은 14.53%로 전분기 말 대비 0.19%포인트 떨어졌다. 하락세는 3분기 연속이다. 이는 코로나19로 위험가중자산(기업대출·시장변동성)이 크게 늘어난 결과로 분석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그 동안 금융산업을 찬밥 취급하다가 코로나19로 상황이 악화되니 계속 금융권을 불러 부담을 지우고 있다"며 "금융지원이 금융 본연의 역할이라고는 하지만 해도해도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산업을 키울 수 있도록 여건도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