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LG화학 분사] 주총 막판 변수로 떠오른 세 가지...캐스팅보트 쥔 '국민연금'

기사등록 : 2020-09-21 17: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자투표제 도입…54.33% 보유한 소액주주 의결권 행사 가능성↑
국민연금, 캐스팅보트 부각…한진그룹 사례 주목

[서울=뉴스핌] 이윤애 김민수 기자 = LG화학의 전지사업부 분할 결정에 대한 여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시장의 눈은 내달 30일 열릴 임시주주총회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할 방식으로 인적분할이 아닌 물적분할을 택한 데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10% 가량을 보유한 국민연금, 이번 주총에서 처음 도입되는 전자투표제, 소액주주의 집단행동 가능성 등이 변수로 거론된다. 이중 핵심 변수는 국민연금이다.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지면 주총은 싱겁게 끝나지만 반대표를 던질 경우 상황이 복잡해진다. 국민연금의 반대표를 등에 업고, 증시 안팎의 분위기가 '부결'쪽으로 급물살을 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개인투자자들의 움직임이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주총날까지 긴장을 놓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가운데)이 지난해 11월 15일 경남 함안에 위치한 동신모텍을 방문해 전기차 배터리팩 하우징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LG화학] 2019.11.15 dotori@newspim.com

◆국민연금, '주주가치 훼손' 이유 반대표 가능성?

21일 재계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 17일 긴급 이사회를 소집해 2차전지사업부를 분할하는 안을 의결했다. LG화학이 배터리 신설법인(가칭 'LG에너지솔루션')의 발행주식총수를 소유하는 물적분할 방식이다. 주총에서 최종 승인이 나면 12월1일 LG에너지솔루션으로 분할이 완료된다.

하지만 2대주주인 국민연금의 선택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7월31일 기준 국민연금이 보유한 LG화학 지분은 10.62%다. ㈜LG와 국민연금 외에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투자자가 없다는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준인 셈이다.

비슷한 사례로 지난해 3월 고(故)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대한항공 이사 재선임 부결을 꼽을 수 있다. 주총 당일 조 회장 일가 등 우호세력이 보유한 지분이 33.4%였으나 국민연금 등의 반대로 주총 출석주주의 3분의 2 이상을 지지를 받지 못해 패배했다. 당시에도 국민연금은 11.6%를 보유한 2대주주였다.

전문가들 역시 국민연금이 '주주가치 훼손'을 이유로 반대표를 던진다면 LG화학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국민연금의 반대표 행사가 다른 기관투자자들의 주주권행사에 영향을 미치거나, 개인투자자들이 결집하는 모멘텀으로 작용하면 결과를 알 수 없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투업계 다른 관계자는 "현재로썬 국민연금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알 수 없다"면서도 "주총 직전까지 사회적 논란이 이어질 경우 적극적 주주권행사를 천명해온 국민연금의 고민도 깊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LG화학, 전자투표제 첫 도입...소액주주들 영향력은

개인투자자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나서면서 어떤 결과를 이끌지도 관심이다. LG화학이 이번 주총에서 도입키로 한 전자투표제로 소액주주들이 의결권 행사가 한층 수월해졌기 때문이다. 

사업분할은 주총 특별결의 사항으로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전체 발행주식 수의 3분의 1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LG화학의 반기보고서 기준 지분율을 살펴보면 소액주주가 54.33%로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한다. (주)LG는 30.06%, LG연암문화재단 등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을 모두 합치면 30.09%까지 오른다. 국민연금 9.96%(7월31일 기준으로는 10.62%), 외국인 36% 등이다. 

임시주총을 개최하면서 기존보다 짧은 주주명부 폐쇄기간도 소액주주들에겐 유리하다. 현 상법에 따라 대부분의 상장사들은 정기주총 개최 90일전 주주명단을 확정(주주명부 폐쇄)한다. 하지만 LG화학이 공시한 주주확정 기준일은 10월5일로 주총까지 20여일에 불과하다. 차익 실현을 위해 주식을 주로 단기간 보유하는 소액주주들 입장이 보다 더 잘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 시장에서는 지분율 등을 놓고 볼때 무난하게 통과될 것이라는 시선이 지배적이다. 최대주주만으로 찬성표 30%를 확보한 만큼 최소요건 중 하나인 총발행주식의 3분의 1 이상 동의는 얻는 데는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참석 주주의 3분기 2 이상 찬성을 이끌어내는 것도 산술적으로 어렵지는 않다. 30%에 달하는 우호지분에 대응해 부결시키기 위해선 반대 의견을 표하는 주주들이 최소 15% 가량 필요하다. 배터리사업부 분사에 적극 반대하는 개인투자자 비중이 10%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쉽지 않은 수치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LG화학 배터리 사업 분사 전후 표 2020.09.18 yunyun@newspim.com

 ◆ 금소원 "소액투자자 고려한 조치해야...국회, 정부 방치말라"

소액주주들은 여론전을 펼칠 가능성이 있다. 금융소비자원은 이날 공개적으로 LG화학을 겨냥하고 나섰다. 금소원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시장참가자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윤리적 책임과 자본시장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의 기업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거 SK C&C와 SK 합병,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등의 사례를 비춰볼때 LG화학의 소액주주들의 이익이 침해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국회와 법무부, 공정위, 금융위 등 정부는 이러한 현실을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헌법에 보장된 재산권 보호를 위해 법개정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압박했다.

LG화학을 향해서는 "이번 LG화학 물적분할 사안과 관련해 LG그룹이 향후 시장발전과 소액투자자를 위한 조치를 외면하고 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LG 불매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LG화학의 한 개인투자자는 분사 발표 직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LG화학 물적분할로 인한 개인 투자자들에 피해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21일 오후 5시까지 7800여명이 동의했다. 이번 분사 결정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분노가 고스란히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금투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LG화학 대표가 직접 나서서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들이 아닌 개인투자자들을 상대로 설명회를 진행했어야 했다"면서 "과거 김반석 LG화학 대표의 경우 중요한 사건이 있으면 본인이 실적발표회 등에 나와 증권거래소에서 애널리스트, 일반주주 등 300~400명을 앞에두고 직접 설명하고 중요한 질문을 받으며 설득에 나섰었다"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이번 물적분할 이슈에 대해 "배터리 신설법인의 성장과 발전, 추후 상장을 통한 평가가치 제고와 석유화학, 첨단소재, 바이오의 투자 확대를 통한 성장 전략"이라며 "기존 LG화학의 주주가치 제고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 mkim0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