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해철 기자 =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전체 지역에서 매매가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진 반면, 9억원을 넘는 아파트는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감정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서울 내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2017년 5월 67.3%에서 올해 6월 29.4%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2020.09.21 pangbin@newspim.com |
반면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의 경우 15.7%에서 39.8%로 그 비율이 2.5배 가량 늘었다. 또 15억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은 3.9%에서 15.2%로 확대됐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 3년여간 실수요자가 접근 가능했던 아파트는 대폭 줄어들고, 기존 주택 또한 일반 서민은 거의 바라볼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오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치구 중 6억원 이하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다. 강동구는 2017년 5월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74.9%에서 지난 6월 현재 8.9%로 66%포인트(p) 급락했다. 같은 기간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48.6%p 폭증했다.
'6억원 아파트 소멸' 현상은 서울에서 그나마 실수요자의 접근이 용이했던 강북에서 심화됐다. 성북구의 경우 6억원 이하 아파트는 97.0%에서 33.6%로 대폭 줄었고,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축소됐다. 반면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은 성북구는 0%에서 11.3%로, 동대문구는 0%에서 20.9%로 각각 늘었다. 서대문구의 6억원 이하 아파트는 88.6%에서 26.5%로 급감한 반면,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3%→26.0%로 급증했다.
강남지역은 15억원 초고가 아파트가 크게 늘어났다. 강남구는 3년 전 15억 초과 아파트가 26.8%였지만, 올해는 73.5%였다. 서초구도 같은 기간 22.4%에서 67.2%로 확대됐다. 송파구 또한 5.3%에서 43.1%로 늘어났다.
김 의원은 "문 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놨다"며 "오랜 기간 살아온 실거주민에게는 세금 폭탄까지 선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sun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