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대기업 일감몰아주기 여전…SK·셀트리온 내부거래 가장 많아

기사등록 : 2020-11-12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공정위, '2020년 대기업 계열사 내부거래현황' 공개
2019년 대기업 내부거래 196조7000억원에 달해

[세종=뉴스핌] 민경하 기자 = 대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이 여전히 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현대차 등 재벌 오너 10대 기업집단 내부거래 비중은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내부거래 금액이 가장 큰 기업은 SK그룹으로 총 41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집단은 셀트리온으로 37.3%에 달했다.

12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0년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 계열회사 간 상품·용역거래 현황(내부거래)'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중 대기업 계열사 1955개의 내부거래 금액은 총 196조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1000억원 감소했다. 내부거래 비중은 12.2%로 전년과 동일했다.

2020년 공시대상기업집단 내부거래현황 [자료=공정거래위원회] 2020.11.12 204mkh@newspim.com

상장사보다는 비상장사, 총수없는 집단보다는 총수있는 집단에서 내부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내부거래 금액이 큰 집단으로는 SK(41조7000억원)이었으며 ▲현대자동차 37조3000억원 ▲삼성 25조9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내부거래 비중이 큰 집단으로는 셀트리온이 37.3%로 가장 높았고 ▲SK 26.0% ▲태영 21.4% ▲현대자동차 20.1% 순이었다.

셀트리온그룹의 경우 의약품을 생산하는 '셀트리온'의 유통·판매를 담당하는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대한 매출이 8600억원으로 그룹 매출액의 35.8%를 차지했다. 또한 내부거래 금액이 큰 상위 5개 기업 내부거래 금액 합계는 132조8000억원으로 전체의 67.5%를 차지한 것이 특징이다.

전체 대기업 계열사 1955개사 중 내부거래가 있는 회사는 1527개사에 달했으며 내부거래 비중이 30% 이상인 회사는 668개사였다.

전년에 비해 내부거래 비중이 많이 증가한 집단은 한국GM(8.5%p)이었으며 ▲SM 2.2%p ▲이랜드 2.0%p 순이었다. 내부거래 금액이 많이 증가한 집단은 현대자동차(4조2000억원)이었으며 ▲삼성 9000억원 ▲한국GM 8000억원 등이다.

삼성·현대차·SK 등 총수 있는 10대 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은 전년보다 0.3%p 증가했으며 금액은 4000억원 감소했다. 총수 있는 10대 기업은 최근 5년간 내부거래 금액·비중이 모두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총수 2세 지분율 20% 이상인 회사는 20% 미만인 회사보다 내부거래 비중이 크게 높았다. 총수 2세 지분율이 20% 이상인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9.1%에 달했다.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11.9%으로 전년보다 1.0%p 증가했다. 금액은 8조8000억원으로 1000억원 감소했다. 특히 총수 있는 10대 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은 6.3%p, 금액은 1조2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성경제 공정위 기업집단정책과장은 "대기업 사익편취 사례가 지속 확인되고 있으며 총수 있는 10대 기업의 내부거래도 지속 증가하는 등 꾸준한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총수 있는 10대 기업의 내부거래 비중·금액 증가에 대한 감시·시정활동을 지속·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성 과장은 "사익편취 사각지대에서 회사당 내부거래 금액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회에 제출된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통과돼 사익편취 사각지대를 조속히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4mk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