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이동통신3사의 연말 인사와 조직개편의 키워드가 일제히 '비(非)통신 신사업'을 가리켰다. 통신사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와 기업간거래(B2B) 부문을 강화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통신사업으로는 더 이상 외형성장이 어려울 것이란 판단에 디지털 플랫폼과 빅테크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다. 이 같은 방향성은 최근 임원인사와 조직개편에서도 드러나 새 먹거리에 대한 절실함으로 풀이된다.
KT 구현모 대표 [사진=KT] 2020.07.02 abc123@newspim.com |
지난 11일 KT는 2021년 정기임원인사 및 조직개편을 통해 B2B 및 AI/DX 조직을 강화했다. AI/DX 사업부문은 코로나19로 통신서비스 분야 매출이 정체되고 있을 때 KT의 실적을 견인한 주역이다.
KT는 이 같은 실적에 힘입어 B2B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부문을 '엔터프라이즈 부문'으로 재편하고 KT그룹의 최고정보책임자(CIO)를 역임한 IT전문가 신수정 부사장을 엔터프라이즈 부문장으로 전보했다.
새 먹거리를 찾기 위한 조직개편도 이뤄졌다. KT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AI/DX융합사업부문 산하에는 KT랩스를 둬 통신 외 신사업을 추진하는 '개척자' 역할을 맡게 했고, 미래사업을 발굴하는 미래가치TF는 CEO 직속조직인 '미래가치추진실'로 격상했다. AI/빅데이터 사업본부장이었던 김채희 상무는 KT그룹 총괄 전략기획실장으로 중용, ABC(AI·빅데이터·클라우드) 사업의 컨트롤 타워를 맡도록 했다.
SK텔레콤은 전체 조직을 AI 중심으로 전면 재편하고 AI빅테크·마케팅 컴퍼니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의 정체성이었던 통신을 담당하는 MNO사업부는 9개 핵심사업과 상품으로 쪼개 '통신'사업의 색채를 옅게 했다. 모바일, 구독형상품, 혼합현실(MR) 서비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메시징, 인증, 스마트팩토리, 광고·데이터의 9개 부문으로 나누고 각 부문을 사내 독립기업처럼 다루기로 한 것이다.
더불어 AI사업을 담당하던 'AI서비스단'은 'AI&CO'로 조직명을 바꿔 SK ICT 회사들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에 AI를 접목시킬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라는 역할을 맡게 했다. 박정호 사장은 "핵심 사업과 상품을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했으며, 앞으로는 AI가 모든 사업의 기반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통3사 중 가장 먼저 조직개편을 실시한 곳은 LG유플러스다. 지난달 29일 LG유플러스는 스마트 헬스, 보안, 교육, 광고, 콘텐츠, 데이터 사업 등을 합쳐 '신규사업추진부문'을 신설했다. LG유플러스는 이통3사 중 통신서비스의 매출 비중이 가장 높고 반대로 신사업 비중은 가장 낮은 회사다. 하지만 황현식 신임 사장은 취임 직후 여러 군데로 흩어져 있는 비통신 사업부문부터 한 데 묶었다.
5G 상용화로 생긴 B2B 사업 기회에도 주목했다. 황 사장은 이번 조직개편 때 기업신사업그룹 산하에 5G B2B 사업을 진두지휘할 기업부문을 배치했다.
이통3사의 잇따른 '탈통신' 행보는 코로나 시국에서 증명된 신사업의 가능성 때문이다. 올해 3분기 이통3사 실적을 분석해보면 각 사 신사업의 전년대비 성장률은 모두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의 미디어·보안·커머스, KT의 IDC/DX, LG유플러스의 스마트홈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무선통신사업 부문은 한 자리 수 성장률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LG유플러스는 사업비중이 통신에 치우쳐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보수적인 탓에 이통3사 중 주가가 가장 저평가 돼 있었다"며 "결국 LG유플러스도 성장을 위해서는 통신에만 집중할 수 없음을 인정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nana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