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6~7% 증가한 5400억~5500억달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교역환경 개선, 반도체·원유 등 주력 제품 단가회복,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FTA 발효 기대감 등이 긍정 요인으로 꼽혔다.
KOTRA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수출전망 및 중점사업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KOTRA는 내년 한국 수출을 올해 대비 6~7% 증가한 5400억~5500억 달러로 전망했다. 세계 84개국 127개 해외무역관을 활용해 바이어·주재상사 등 정보원 의견을 종합한 결과다.
긍정 요인으로는 글로벌 교역환경 개선, 반도체·원유 등 주력 제품의 단가 회복, 신성장 품목의 호조세 지속, RCEP 등 FTA 발효 기대, 온라인 수출확대 등이 꼽힌다. 불안 요인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 보호무역주의 확산,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대 등이다.
우리나라 수출 추이 및 전망 [자료=KOTRA] 2020.12.21 fedor01@newspim.com |
국가별로는 대부분 지역으로 수출 확대가 예상되지만 일본·중동 수출은 올해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미국·인도·아세안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주요 교역국의 경기개선, 유럽·미국의 친환경정책 등으로 전반적 수입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일본은 경기침체 장기화와 소비회복 지연 등이, 중동은 유가회복 지연과 프로젝트 시장 침체 우려 등이 불안요인이다.
품목별로는 주력·신성장·비대면 관련 품목이 수출을 견인할 것으로 관측된다. 수요회복, 단가상승, 5G 확대,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예상되고 석유 제품은 유가 상승에 힘입어 수출 확대가 전망된다. 주요국의 친환경 정책이 지속되고 의료·보건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신성장 품목 수출기회도 늘 것으로 보인다. 비대면 경제 일상화로 IT·홈코노미 제품 수요도 계속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수출전망에 맞춰 KOTRA는 내년 '무역투자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며 글로벌 비즈니스 활력 제고에 앞장선다. 코로나19 전개 추이에 따라, 시나리오별 사업·예산 운영체계를 수립해 대응할 계획이다.
중소·중견기업 수출 활력을 높이기 위해 중소·중견기업의 성장단계별 온오프라인 해외마케팅 지원사업을 확충하고 정보·서비스 전달 체계를 쇄신해 수출 활력을 살린다. 수출저변 확대를 위한 역량 단계별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내수·수출초보 기업의 수출기업화 성공사례를 올해 4200개에서 내년 5000개로 늘릴 계획이다.
선도형 경제 전환을 추진하고 한국판 뉴딜 및 신성장산업의 글로벌화를 견인한다. 스마트 사회간접자본(SoC)의 해외진출을 늘리고 시스템반도체 등 디지털뉴딜(DNA)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한다. 홈코노미 등 포스트 코로나 신수요 분야 해외 마케팅을 집중 전개해 지원기업 수를 올해 2629개사에서 3000개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가치사슬(GVC) 재편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힘을 보탠다. 글로벌파트너링(GP) 센터를 10개로 늘리고 스마트시티 협력지원센터도 2개 이상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상생발전 기반 경제·통상 협력을 다각화 하고 글로벌 일자리 연계 투자 활력 제고에 나설 예정이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2020년은 우리에게 커다란 위기와 새로운 기회를 모두 안겨줬다"며 "위기 속에서 축적한 경험을 토대로 기회의 싹을 틔워 2021년에는 우리 수출의 새로운 지평을 열자"고 강조했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