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오는 2034년까지 가동연한 30년이 도래하는 석탄발전 30기가 폐지된다. 원자력발전은 2022년 26기로 정점을 찍고 2034년까지 17로 줄어든다. 이를 통해 전체 전력 생산원 중 원자력발전과 석탄발전 설비 구성이 오는 2034년까지 각각 10.1%, 15.0%로 줄어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해 28일 발표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2020년부터 2034년까지 15년간의 전력수급전망, 수요관리, 전력설비 계획, 전력시장제도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 방안 등이 담겼다.
우선 수요전망에 따르면 2034년 최대전력수요는 102.5GW다. 전력수요 전망은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7차 및 8차 계획과 동일한 모형인 전력패널 모형을 활용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복합화력발전소를 찾아 여름철 전력수급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2020.07.06 mironj19@newspim.com |
최대전력 기준수요는 117.5GW로 전망됐다. 하지만 수요관리 목표와 전기차 보급 확산 등을 종합 고려해 목표수요는 102.5GW로 도출했다. 기존 수요관리 수단 이행력 강화와 혁신기술 기반 신규수단 확보를 통해 기준수요 대비 전력소비량은 14.9%(96.3TWh), 최대전력수요는 12.6%(14.8GW) 감축하는 등 8차 계획 대비 향상된 수요관리 목표를 제시했다.
효율관리제도 기준 개선과 고효율 기기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보급확대 등 효율향상을 통해 최대전력 6.7GW를 감축한다. 수요자원(DR) 시장 개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보급 등 부하관리를 통해 최대전력 7.08GW를 감축할 계획이다.
2034년 기준 목표 설비용량은 목표수요인 102.5GW에 기준 설비 예비율 22%를 반영한 125.1GW로 산출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기존 설비계획 122.2GW 외에 신규로 2.8GW의 추가설비 확충이 필요할 전망이다.
발전원 별로 석탄설비 발전량은 올해 35.8GW에서 현재 60기 중 가동연한 30년이 도래한 30기를 폐지해 29.0GW로 6.8GW 낮춘다. 원전설비는 2022년 26기로 정점을 직고 2034년까지 17기로 감축한다. 올해 23.3GW인 발전량은 19.4GW로 3.9GW 줄어든다.
액화천연가스(LNG) 설비는 폐지되는 석탄 30기 중 24기를 LNG로 전환하는 등 올해 41.3GW인 발전량을 59.1GW로 17.8GW 늘린다. 신재생에너지 설비 발전량은 20GW에서 77.8GW로 4배 가량 확대할 계획이다.
전원별 설비(정격용량 기준)구성을 보면 원전(18.2%)과 석탄(28.1%)은 각각 10.1%, 15.0%로 감소될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는 현재 15.8%에서 40.3%로 증가하고 LNG발전은 30.6%로 현재(32.3%)에 비해 소폭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온실가스 감축방안은 올해말 UN에 제출 예정인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와 연계해 이행방안을 구체화했다. 이에 따라 2030년 기준 전환부문 온실가스 배출 목표 1억9300만t을 달성할 계획이다. 발전부문 미세먼지 배출도 2019년 2만1000t에서 2030년 9000t으로 약 57%가 줄어들 전망이다.
분산형 전원의 발전량 비중은 2020년 약 12% 수준에서 2034년 약 21% 수준으로 크게 확대한다. 분산형 전원 보급 활성화를 위해 송전선로 건설회피 등에 따른 편익 지원방안 마련과 함께 수도권 신규수요를 재생에너지 집중지역으로 분산하기 위한 제도 도입을 검토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9차 계획 확정 이후 '제5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제14차 장기천연가스수급계획',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등 관련 에너지계획과 정책을 수립·확정할 예정"이라며 "2050 탄소중립 목표로 나아가기 위한 전력수요 전망과 중장기 전원믹스 등도 관련 법제화 및 상위계획과의 정합성 확보를 토대로 차기계획에서 순차적으로 검토·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