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제로물가'라는데 즉석밥·음료값 줄인상…"설 앞두고 장보기 무서워"

기사등록 : 2021-02-04 07: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농산물 가격 상승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에그플레이션' 우려
정부, 설 연휴 앞두고 물가 조정 위해 대책 마련 나서겠다 발표
원재료 상승에 식품업계 가격 인상 시동걸지만 소비자는 '불만'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20대 자취생 이모씨는 식비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최근 식료품 가격 뿐 아니라 간편식 가격 마저 고공행진 중이기 때문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1000원이던 애호박이 3000원대고 3000원대던 대파 한단은 7000원까지 치솟았다. 즐겨 먹던 계란 한 판 가격 마저 1000원 넘게 올라 7500원대다. 식료품 가격이 높은 탓에 가정간편식(HMR)과 패스트푸드 등으로 관심을 돌려보지만 오뚜기밥 역시 가격이 올랐고 즐겨 먹던 롯데푸드 스파게티도 가격을 인상했다. 이 씨는 장보기가 무섭다고 토로한다.

연초부터 밥상 물가가 치솟으면서 가계 장바구니가 가벼워지고 있다.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도 들썩이고 있다.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를 통계로 나타낸 수치인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은 4달 째 0%인 반면 체감 물가는 계속해서 오름세다.

농산물부터 시작된 가격 인상이 통조림, 즉석밥 같은 가공식품과 간편식 등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에그플레이션'의 전조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이 같은 우려를 의식해 설 연휴 직전 성수품 보급에 나선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은 이미 오른 물가에 체감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 중이다. 2021.02.03 jellyfish@newspim.com

◆식품·외식 물가 줄인상 흐름…식품업계 "원재료 가격 올라 가격 인상 불가피"

4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79로 1년 전에 비해 0.6%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0% 수준이지만 구체적인 항목을 들여다보면 생활물가는 상승세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0.0% 상승한 가운데 ▲돼지고기(18.0%) ▲사과(45.5%) ▲국산쇠고기(10.0%) ▲쌀(12.3%) ▲파(76.9%) ▲고춧가루(34.4%) ▲양파(60.3%) 등이 전년 동월 대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계란값은 전월 대비 13.3% 올랐다.

문제는 농축수산물 가격 인상과 함께 지난해부터 이어진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밥상 물가'가 더 가파르게 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쭉 상승세를 이어온 곡물가격이 제품 생산가격에 반영되면서 가공식품과 외식물가가 크게 올랐다.

오뚜기는 지난해 오뚜기 즉석밥 3종 가격을 평균 8% 인상한 데 이어 5개월만에 또 7~9% 인상키로 했다. 기존 710원에 팔리던 오뚜기밥은 이달부터 800원에 팔릴 예정이다.

또 밀과 계란이 주 재료인 라면 가격은 지난 달 0.7% 올랐다. 뚜레쥬르 빵 90종도 가격이 평균 9% 가량 인상됐다. 대표 제품인 단팥빵과 소보로빵은 1100원에서 1200원으로 100원 올렸다.

풀무원·샘표·동원F&B 등과 같은 주요 식품제조사들이 가격을 올린데 이어 롯데리아는 제품 25종 가격을 약 200원가량 올렸고 아웃백 역시 주요 제품가를 인상했다.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식료품부터 간편식 그리고 외식업계까지 안 오른 게 없는 장바구니 물가. 2021.02.03 jellyfish@newspim.com

◆식품업계 "원재료 인상에 더 이상 동결 힘들어" vs 소비자 "부담은 소비자 몫이라고?"

식품업계는 수년간 가격을 동결하면서 원재료 가격 인상 등을 더 이상 감당하기 힘들었다고 호소한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수긍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기업 부담을 소비자들에게 전가하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한다.

식품업계 주장대로 식품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곡물 등 원재료 가격과 농축수산물 가격은 큰 폭으로 오른 게 사실이다. 세계적 이상기후로 인해 곡물 생산량이 감소했고 국내적으로는 장마가 겹쳤으며 코로나로 인해 집콕하며 '집밥'을 먹는 사람은 늘어났기 때문이다. 공급은 줄어드는데 수요는 늘어나 가격이 오른 것이다.

식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곡물 같은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식품기업은 선물거래를 통해 보통 약 3~6개월 분량의 원재료 등을 확보해두는데 이미 6개월을 넘긴지 오래"라고 했다. 이에 뚜레쥬르는 지난달 원재료와 인건비 인상을 이유로 90개 제품 가격을 평균 9% 올렸다.

곡물 가격 상승은 육류 가격도 끌어올린다. 대두나 옥수수 등은 가고식품 재료로 쓰이는 동시에 가축 사료로도 쓰이기 때문이다. 이는 곧 외식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육류를 메인으로 취급하는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와 롯데리아 등이 가격 인상을 단행한 이유겠다.

소비자들은 이런 식품업계의 도미노 가격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월급은 동결되거나 상승폭도 미미한데 식비 부담은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라면이나 빵 그리고 통조림 같은 대체 식품마저 가격이 오르면 무얼 먹어야 하냐며 하소연한다. 정부의 단기 대책에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설 연휴를 앞두고 서민물가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핵심 성수품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계란에 대해서는 2월 말까지 수입계란 4400만개를 공수하기로 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정부 대책은 단기 처방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식탁 물가를 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가격인상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가격을 올리는 것이 소비자 저항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만큼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jellyfis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