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널뛰기' 서울 확진, 백신접종 '안정제' 될까

기사등록 : 2021-02-25 11: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일대비 122명 증가, 두달째 100명대 '널뛰기'
올해 두자릿수 확진 1차례, 확진율도 0.5% 고착
내일부터 1단계 백신접종, 취약계층 감염 차단 기대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서울 확진 규모가 두달째 100명대 초반에서 후반을 오가는 '널뛰기'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의료기관이나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내 감염과 이에 따른 n차 감염이 확산 차단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내일(26일)부터 시작되는 백신접종이 코로나 종식을 앞당길 수 있을지 관심이 뜨겁다.

서울시는 25일 0시 기준 확진자는 전일대비 122명 증가한 2만785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1명 늘어난 373명이다.

지난 16일 258명까지 치솟았던 확진자가 빠르게 안정을 찾았지만 100명 초반에서 중후반대를 오가는 '널뛰기' 확진이 두달 가까이 이어지고 여전하다. 새해 들어 신규 환자가 두자릿수를 기록한 건 지난 8일(90명)이 유일하다.

[이천=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19 백신 국내 첫 출하가 시작된 24일 경북 안동시 SK바이오사이언스공장에서 출하된 백신 수송차량이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로 도착하고 있다. 이날 물류센터에 도착한 백신은 정부가 계약한 75만명분의 일부인 15만명 분으로 하루 뒤인 25일부터 전국 각지 보건소와 요양병원으로 순차적으로 운송될 예정이다. 2021.02.24 photo@newspim.com

최근 2주간 서울시 평균 확진율은 0.5~0.6% 수준이다. 이 기간 평균 검사건수가 2만5000건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서울에서는 매일 신규 확진자가 150명 이상이 발생하는 셈이다. 두자릿수 진입을 위해서는 확진율이 0.3% 수준까지 떨어져야 가능하다.

특히 의료기관, 요양시설 집단감염이 여전하다.

신규 확진 122명 중 주요 집단감염은 용산구 소재 순천양대 병원 2명(누적 189명), 양천구 소재 유치원·어린이집 2명(22명), 서초구 소재 의료기관 2명(10명), 영등포구 소재 의료기관 관련 2명(9명), 중랑구 소재 요양시설 관련 1명(9명) 등이다.

신규 환자가 발생한 이들 5개 시설 누적 확진자만 239명에 달한다. 시설에서 발생한 n차 감염까지 감안하면 의료기관 및 요양시설로 인한 재확산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4차 대유행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확산차단을 위해서는 이들 시설에 대해 방역강화가 불가피하다.

서울시는 내일부터 시작되는 백신접종이 확산세 차단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먼저 백신을 맞는 사람들은 서울시내 요양병원 137곳과 요양시설 277곳의 만 65세미만 입원‧입소자, 종사자 등 2만2615명이다. 적지 않은 환자와 사망자가 해당 시설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백신접종 이후 집단감염 빈도와 규모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다른 감염 취약층은 고령층(만 65세 이상) 155만명에 대한 접종은 4월부터 시작된다. 서울 전체 확진자에서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20~25%에 달하는 점에서 백신접종이 완료되면 상당한 감염 차단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의료기관과 요양시설, 고령층 전체에 대한 백신접종이 마무리되는 시점이 5~6월이라는 점에서 상반기에는 지금과 비슷한, 또는 그 이상의 방역대책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울시는 민관합동 신속대응팀을 구축, 운영하는 등 원활한 백신예방접종을 위해 만전을 다한다는 방치이다. 내일부터 시작되는 1단계 접종대상자는 9만6000여명으로 1차 접종은 3월, 2차 접종은 5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65세 이상 고령층 등을 포함한 2단계 접종대상자 185만명에 대한 접종은 4~6월에 이뤄진다. 50~64세 성인 등 3단계 접종(411만명)은 7~10월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3단계 접종을 통해 오는 11월까지 서울시민의 70%에 달하는 606만명에 대한 백신접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peterbreak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