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GC녹십자, 모더나·CEPI 이어 러시아 백신 생산 맡을까

기사등록 : 2021-03-18 17:4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0일 러시아 백신 개발 관계자, GC녹십자 화순·오창 공장 방한
계약 성사시 1년간 1억도즈 생산…품질 점검 이후 본계약 체결 예정

[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GC녹십자가 러시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코비박(covivac)'의 생산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업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생산을 맡게 되면 모더나 백신 국내 허가·유통과 감염병혁신연합(CEPI) 백신 위탁 생산에 이어 이어 3번째 코로나19 백신 관련 계약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백신 코비박을 개발한 러시아 연방 추마코프 면역생물한 연구개발센터 관계자와 정부 관계자가 오는 20일 방한한다.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하기 전 GC녹십자의 화순, 오창 공장 시설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내 강의실에서 의료진 대상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이 진행됐다. 이날 총 50여명의 의료진이 백신을 접종했다. 2021.03.04 photo@newspim.com

코비박은 러시아에서 '스푸트니크V', '에피박코로나'에 이어 자체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다. 앞서 두 백신과 마찬가지로 1, 2상 뒤 3상을 진행하기도 전에 지난달 승인을 받았다.

코비박은 러시아에서 70년 이상 연구된 불활성화 바이러스 백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배양해 복제 능력을 조절한 뒤, 인체에 주입해 체내에서 항체 형성을 유도한다. 코비박의 개발로 러시아는 인체에 무해한 다른 바이러스에 삽입해 만드는 전달체(벡터) 백신인 스푸트니크V와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합성 항원 방식인 에피박코로나 백신까지 3가지 종류의 백신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방한은 쎌마테라퓨틱스, GC녹십자, 휴먼엔 등 컨소시엄의 공동 초청에 응한 것이다.

컨소시엄을 꾸린 세 회사 중 백신 생산시설을 갖춘 곳은 GC녹십자 뿐이라 GC녹십자가 생산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쎌마테라퓨틱스 등은 유통을 맡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 관계자들이 둘러보는 GC녹십자의 화순공장은 국내 최초 독감 백신 생산공장이다. 백신 원액 생산부터 패키징, 라벨링 등 완제 공정까지 갖추고 있다. 오창공장은 지난해 완공된 완제 공정이다. 이번 방한은 공장을 둘러보는 단계라 생산 방식 등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원액 생산부터 완제까지 모두 맡게 될 경우 화순공장에서 전부 담당하거나 화순과 오창 공장이 분담하게 될 수도 있다.

러시아는 독립국가연합(CIS)와 코비박의 수출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현재 3억 도즈(1도즈는 1회 접종분)를 주문받았는데, 계약이 체결될 경우 한국에서는 1년간 1억 도즈를 생산하게 된다. 1억 도즈를 생산한 이후 추가 생산 계약을 따낼 수도 있다.

코비박에 앞서 러시아에서 개발된 스푸트니크V도 위탁 생산을 맡은 한국코러스가 당초 1억5000만도즈를 생산하기로 계약을 체결했고, 이후 8개 회사와 컨소시엄을 꾸려 5억 도즈 이상의 물량을 추가 생산하기로 했다.

쎌마테라퓨틱스 관계자는 "연간 1억도즈 생산은 글로벌 시장으로 봐도 큰 물량"이라며 "큰 계약 건인 만큼 이를 맡기 위한 공장 증설 등에 대해서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계약 시기 등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업계에서는 방한 이후 시제품을 생산해 러시아 측에서 품질을 점검한 후 본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코비박 외에도 GC녹십자는 코로나19 백신 유통과 생산을 맡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324억원 규모 계약을 따내 모더나 백신의 국내 허가·유통을 담당하기로 했다. 감염병혁신연합(CEPI)과는 최소 5억도즈의 백신 위탁 생산을 체결했다.

allzer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