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부동산

[종합] 비수도권 광역화 힘 싣는다…GTX-D노선은 강남 제외 '김포 장기~부천'

기사등록 : 2021-04-22 16:5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교통연구원 '4차 국가철도망' 연구용역 공청회 개최
인천공항 노선 제안 등 반영 안돼…대신 공항철도 급행화 추진
"지방 광역 경제권 형성에 초점…균형발전 거점 조성"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비수도권 광역화에 방점을 찍었다. 대전~세종~충북, 부산~울산~경남 등 광역철도에 초점을 맞춰 균형발전에 힘을 싣는다는 목표다. 대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노선은 예상보다 큰 폭으로 축소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수도권 집중화를 막는다는 복안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22일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연구' 공청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 GTX-D 예상보다 축소…대전~세종청사~청주공항 등 비수도권 광역철도 대거 신설

이번 계획안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 광역철도가 용역에 대거 반영됐다.

우선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는 대전 반석~세종청사~조치원 구간 신설을 제안했다. 조치원~청주공항 구간은 기존 충북선을 활용, 전체 구간을 광역철도로 건설한다. 이 밖에 ▲부산~양산~울산 ▲광주~나주 ▲대구~경북 등 권역별 광역철도도 제안됐다.

반면 부동산 시장의 최대 관심사였던 서부권 광역급행철도(GTX-D)는 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으로 용역에 반영됐다. 시장 기대보다 대폭 축소된 규모다.

앞서 지자체들은 GTX-D 유치 경쟁을 벌이며 다양한 노선을 제안했다. 인천시는 인천과 김포에서 출발하는 Y자 노선을 제안, 대규모 개발을 제안했다. 인천공항부터 하남, 김포 통진 등을 연결하자는 안이었지만 인천공항 노선은 반영되지 않았다. 대신 인천공항철도는 급행화를 추진한다. 인천공항에서 서울역 간 이동시간이 직통열차 52분→39분으로 줄어들게 된다.

GTX-D 노선이 예상보다 축소된 것은 수도권 집중과 지방권 소멸을 완화하는 데 4차 국가철도망 계획이 초점을 맞춘 결과로 풀이된다. 광역 경제권 주요 지점을 1시간 내에 이동, 광역 경제권 조성 기반을 마련해 수도권과 격차를 줄인다는 목표다.

교통연구원은 "지방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 광역 경제권 형성을 위해 다수의 비수도권 광역철도 사업을 선정했다"며 "국토 공간구조가 다핵화하고 있어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균형발전 거점을 조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용역에 따르면 수도권은 주요도시 대비 연장이 부족하고, 비수도권은 운영 중인 광역철도가 없어 광역권 내 이동이 불편하다고 분석했다.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 사업은 ▲조치원~신탄진 ▲강경~계룡 등 충청권과 대구권의 김천~구미가 추진된다. 수도권의 경우 ▲별내선 연장 ▲분당선 연장 ▲일산선 연장 ▲대장~홍대선 ▲신구로선 등이 건설될 예정이다.

용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경부(고속)선 수색~금천구청 구간과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복선화를 추진한다. 단절 구간인 문경~김천을 연결하고 점촌~영주는 전철화한다. 서해선과 경부고속선 연결선을 통해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한 지역에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라선(익산~여수) ▲동해선(삼척~강름) ▲호남선(가수원~논산)은 고속화한다.

◆ 2030년까지 총 90조 투자…세계 철도시장 234조 진출도 과제

이번 철도망 계획안에는 철도산업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도 포함됐다. 주요 항구와 산업단지 연결사업으로 새만금선, 부산신항 연결지선 등이 선정됐다. 오송에는 철도종합시험선로 순환선을 구축해 철도차량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동해선(강릉∼제진) 등 이미 추진 중인 남북철도 연결사업을 적기에 추진해 대륙철도 연계에 대비한다.

4차 철도망 계획 용역안에 따르면 철도 연장은 2019년 4274.2km에서 2030년 5137.2km로 123% 증가하게 된다. 전철화 연장은 3116.2km에서 3979.2km로 128% 늘어난다. 철도 수송분담률은 2019년 11.5%에서 17%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계획기간인 올해부터 2030년까지 투자규모는 총 90조원으로, 생산유발효과는 175조8000억원, 부가가치효과 73조원, 고용유발효과는 46만8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차원에서도 철도 확대 필요성이 제기됐다. 철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승용차의 17.7%로 철도 중심의 교통체계 전환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해외시장 진출도 과제로 꼽혔다. 세계 철도시장은 2017년 기준 234조원으로 이 가운데 국내 시장은 약 8조3000억원에 불과하다.

국토연구원은 "보다 많은 국민이 편하게 철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국민생활과 나란히, 누구나 누리는 철도'라는 비전을 설정했다"며 "수도권과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춘 광역 경제권 조성을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