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지난달 14일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할 수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성바이오)의 주가는 94만8000원까지 올랐다. 사상 최고가. 지난 2016년 공모가(13만6000원) 대비 7배, 2018년 분식회계 논란으로 거래가 재개된 후 2.4배 올랐다. 2일 기준 시가총액은 55조원, 코스피 상장사 중 6위다.
삼성바이오에게 현재 진행형인 분식회계 재판의 영향은 없는 걸까.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씨 측에 뇌물을 준 혐의 등으로 기소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1.01.18 mironj19@newspim.com |
◆이재용 부회장 수감 중에도 삼성바이오 '최고가'..분식회계 재판 '무풍'
분식회계는 기업이 저지를 수 있는 무거운 범죄다. 고의로 자산이나 이익 등을 크게 부풀리면서 반대로 부채는 적게 계산해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조작하는 회계를 말한다. 최근 진행 중인 이재용 부회장의 불법경영승계 의혹 사건 재판에서 삼성바이오의 분식회계는 핵심 중 하나다.
분식회계는 관련 산업과 투자자에게 끼치는 피해가 막대하다. 적발되면 각종 제재와 함께 폐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한 때 재계 2위까지 올랐던 대우그룹이 사상 최대 규모인 41조원대 분식회계를 저질러 공중분해된 사례가 대표적이다. 대우그룹 이후로는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분식회계 사건이 꼽힌다. 2조5000억원대 분식회계로 관련자는 구속되고 회사는 파산절차를 밟았다.
삼성바이오가 분식회계를 저질렀는지 판단하는 재판은 현재 진행 중이다. 앞서 금융당국의 조사 결과는 나왔다. 지난 2018년 11월 금융위원회 증권선물거래위원회는 "삼성바이오가 고의로 분식회계를 저질렀다"며 검찰에 고발했다. 알려진 분식회계 규모는 4조5000억원. 대우그룹 이후 최대 규모로 알려진 부산저축은행 사건 보다 규모가 컸다.
즉각 거래정지가 이뤄졌고 분식 규모도 작지 않아 상장폐지 심사를 받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그런데 우려와 달리 삼성바이오는 20여일이 지난 2018년 12월 거래를 재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삼성바이오의 분식회계 사건이 기존 대형 분식회계 사건과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쟁점은 분식회계 규모가 아닌 '왜?'
당시 거래재개를 결정한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는 "경영의 투명성과 관련해 일부 미흡한 점은 있었지만 기업 계속성, 재무 안정성 등을 고려해 상장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장부상 숫자상의 문제일 뿐 회사 경영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의미다.
삼성바이오는 지난 2011년 설립 후 적자를 지속하다 2015년 갑자기 2조원 가까운 이익을 낸다. 지난 2012년 바이오젠과 합작해 설립한 삼성바이오에피스(이하 바이오에피스)를 지배력이 있는 '종속회사'에서 지배력이 없는 '관계회사'로 변경하면서다. 9%의 지분을 가지고 있던 바이오젠이 나중에 지분을 50%까지 늘릴 수 있는 콜옵션을 행사할 것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할 것이라고 판단한 근거는 바이오에피스가 2015년 신약 판매허가를 받으면서다.
바이오에피스는 삼성바이오와 관계회사로 분리가 되면서 가치를 재측정했고, 재측정한 가격이 4조8000억원이었다. 당시 장부상 바이오에피스는 3000억원 규모의 회사였다. 4조5000억원이 이익이 추가로 늘어난 삼성바이오로 인해 당시 삼성바이오를 보유하고 있던 제일모직이 삼성물산과의 합병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삼성바이오가 바이오에피스의 가치를 3000억원에서 4조8000억원으로 늘려 잡은 것 자체는 핵심 쟁점이 아니다. 규정상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될 경우 기업 가치를 재평가해야 한다. 그 반대여도 마찬가지다. 재판에서 다뤄질 핵심 쟁점은 삼성바이오가 바이오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왜' 바꿨냐는 것이다. 다시 앞으로 돌아와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가 '상장 유지' 결정을 내린 배경도 관계회사로 '왜' 바꿨는지는 기업 경영에 영향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서울=뉴스핌]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인천 연수구 송도캠퍼스에서 열린 바이오산업 행사에서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온라인 기공식에서 참석자들과 발파버튼을 누르고 있다.[사진=청와대] 20.11.18 photo@newspim.com |
◆바이오 산업의 급성장, '제2의 삼성전자' 찾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
그 사이 바이오 시장은 급성장했다. '신성장동력'의 범주를 넘어 현재를 대표하는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26일 "반도체가 한 세대를 먹여살린 산업이었다면 바이오는 또 다른 한 세대를 먹여 살릴 미래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일찍이 내다보고 과감한 투자를 단행한 삼성은 창립 10년만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의약품 생산공장을 갖추는데 성공했다. 여기에 코로나19 팬데믹은 바이오 산업 성장의 기폭제가 됐다. 백신과 의약품은 전략물자화 됐고, 세계 최대 생산시설을 갖춘 삼성바이오가 글로벌 백신 허브로 주목을 받았다.
투자자들의 선택은 당연히 삼성바이오에 몰렸다. 더 이상 제조업에서 미래를 찾지 않는다. 삼성바이오의 시가총액은 55조원. 2018년 부풀려졌다고 평가된 삼성바이오의 가치가 18~19조원. 지난 의혹도 무의미해진 숫자다.
시가총액 순위를 보면 삼성바이오 보다 상위 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LG화학, 카카오 5곳이다. 현재와 미래를 책임질 산업으로 반도체와 IT, 베터리와 함께 바이오를 꼽고 있다. 분식회계 논란조차 거스를 수 없는 바이오 대세의 흐름. 적어도 이 회사의 미래가치는 부풀려지지 않았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