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연준 후폭풍' 4조달러 美 MMF 자금 갈 곳이 없다

기사등록 : 2021-06-03 04:1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4조달러 규모의 미국 머니마켓펀드(MMF) 시장이 표류하고 있다.

단기물 자산 가운데 리스크가 지극히 낮으면서 0% 이상 수익률을 내는 자산이 사실상 종적을 감추면서 벌어진 결과다.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해 제로금리 정책을 부활시킨 이후 2023년까지 이를 유지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한편 인플레이션 상승에도 테이퍼링에 신중한 움직임을 보인 데 따른 후폭풍이 단기 자금 시장을 강타했다는 지적이다.

2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기업과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MMF로 홍수를 이루고 있지만 자산운용 업계는 단기 자산으로 수익률을 내기 힘든 금융시장 여건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보도했다.

MMF는 주로 단기물 국채를 매입하는 형태로 자금을 운용하는데 해당 자산의 수익률이 0% 선에서 등락하자 업계는 4조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손에 쥔 채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이다.

만기 1개월 이내의 초단기 국채 수익률이 이른바 '서브 제로' 영역에 진입했고, MMF 업계의 또 다른 자금 운용 수단인 레포시장 스왑 금리 역시 0% 아래로 수 차례 떨어졌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금융 시스템의 근간이 흔들리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미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JP모간 애셋 매니지먼트의 크리스토퍼 튜츠 글로벌 포트폴리오 운용 헤드는 FT와 인터뷰에서 "MMF가 0%나 마이너스 수익률의 자산을 매입해야 하는 상황이 길게 이어지면 충격이 자산운용 업계는 물론이고 기업과 개인 투자자들까지 확산될 것"이라며 "결국 운용사들은 추가적인 자금 유입을 차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최대 MMF 운용사 가운데 하나인 페더레이티드 헤르메스의 데보라 커밍엄 최고투자책임자는 "단기물 자산 가운데 가치를 지닌 투자처를 찾기 힘든 실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몇 주 사이 금융시스템으로 유동성 유입이 급증하면서 단기물 수익률이 가파른 하락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연준이 미 국채와 모기지 채권을 매달 총 1200달러로 매입하면서 방출하는 유동성이 홍수를 이루면서 벌어진 일이다.

여기에 미 재무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연계된 자금을 쏟아내면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재무부가 유통시장에서 거래되는 국채의 만기를 늘리기 위해 단기물 채권 공급을 축소한 것도 불균형을 일으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본부 [사진= 로이터 뉴스핌]

크레인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MMF의 수익률이 최근 0.02%까지 떨어졌다. 지난 2019년 말 1.39%에 달했던 수익률이 바닥권으로 후퇴한 셈이다.

이 때문에 운용사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고객들에게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실정이다. 기존의 수수료를 부과할 경우 실질 수익률이 0%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

최근 역레포 물량이 기록적인 수위로 늘어난 것도 MMF 업계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운용 자산을 찾지 못한 금융 업체들이 자금을 역레포를 통해 연준에 쌓아 두고 있다는 얘기다.

월가는 오는 15~16일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주시하고 있다. 뉴욕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연방기금 금리가 최근 0.05%까지 떨어졌고, 이는 투자은행(IB) 업계가 정책자들의 대응을 압박하는 마지노선으로 통하는 수준이기 때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리처드 마자크 글로벌 포트폴리오 운용 헤드는 FT와 인터뷰에서 "이르면 이번 통화정책 회의에서 정책자들이 단기 금리 하락에 대한 대응책을 내놓을 전망"이라며 "숨통을 터 주지 않을 경우 MMF 업계가 위기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higrace5@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