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오는 2024년까지 민간이 주도로 고체 연료 기반의 소형 발사체 개발과 발사가 추진된다. 민간 기업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발사장 등 발사 인프라도 구축한다.
한마디로 우리나라에서도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처럼 민간기업이 우주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진 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안', '초소형 위성 개발 로드맵', '위성통신 기술 발전전략' 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31일 오후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열린'한-미 정상회담 후속 우주개발 연구현장 간담회' 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5.31 photo@newspim.com |
이날 위원회에서 임혜숙 과기부 장관은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이뤄진 '미사일지침 종료', '한·미 위성항법 협력', '아르테미스 약정 참여'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량을 한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공공 중심의 우주개발이 민간으로 확산되고, 발사체·위성 등 전통적인 우주기술이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신기술과 융합돼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혁신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 2024년까지 고체연료 소형발사 인프라 구축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고체연료 기반의 소형발사체 개발·발사가 가능하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최근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으로 우주발사체 고체연료 사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고체연료 발사체는 우리나라가 그동안 축적한 고체추진제 기술을 활용해 민간 우주산업체 주도로 개발한다.
고체연료 발사체는 액체연료 발사체와 비교해 구조와 발사장 설비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 점화로 발사할 수 있어 민간 산업체의 저비용·단기 발사체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궤도 소형 위성을 반복해서 발사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에서 반복적으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도록 발사장 등 민간 발사 인프라도 구축한다. 발사장은 발사·통제 시설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해 국내 유일한 우주발사장인 나로우주센터 내에 설치된다. 고체연료 발사체 기반으로 우선 발사장을 마련하고 향후 액체연료 등 다양한 발사체에 활용할 수 있는 범용 발사장으로 확대한다.
발사체 상단에 설치돼 발사체의 우주탐사선 투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추진단 킥모터(Kick-Motor) 개발도 검토한다. 발사체에 킥모터를 적용하면 탑재되는 우주탐사선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어 달·소행성 등 우주탐사 시 임무를 늘릴 수 있다. 킥모터 개발은 향후 우주탐사 수요에 따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한·미 위성항법 협력 공동성명 관련 사항을 반영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구축 계획을 구체화 한다. 공동성명에 따른 미국 GPS와의 공존성, 상호운용성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과 GPS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돼 국민들이 보다 향상된 위성항법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가능하다.
완료된 이후 ▲일반 서비스(상용 GPS급) ▲SBAS 서비스(국제민간항공기구 표준 보강서비스) ▲미터급 서비스(m급 정확도) ▲센티미터급 서비스(cm급 정확도) ▲탐색구조 서비스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국가 인프라로 작동한다.
이와 함께 초소형 위성 개발 로드맵도 함께 발표됐다. 초소형위성은 여러 대를 군집으로 운용해, 동일 지점을 더 자주 또는 동일 시간에 더 넓게 관측할 수 있고 단기간·저비용 개발이 가능한 장점을 동시에 지녔다. 정부는 이번 '초소형 위성 개발 로드맵'을 통해 공공 수요 확대를 통한 초소형위성 시장 조성, 설계부터 발사·운용까지 민간기업의 위성 개발 전주기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한다.
'6세대(6G) 시대의 위성통신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수립한 '위성통신 기술 발전전략'은 6G 지상-위성 통합망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저궤도 위성통신 역량 확보, 정지궤도 위성통신 경쟁력 강화 등으로 추진된다. 오는 2031년까지 모두 14기의 저궤도 통신위성을 발사해 저궤도 군집위성 시범망 구축 지원 및 국내 위성통신 기술경쟁력 확보의 기반을 조성한다.
[광주=뉴스핌] 전경훈 기자 = 1일 오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발사대에서 기립해 있다. 2021.06.01 kh10890@newspim.com |
◆ 한화·KAI 등 민간기업 우주산업 진출 박차
정부 계획에 따라 민간 우주산업을 일궈나갈 기업으로는 한화와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꼽힌다.
우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오는 10월 발사되는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의 액체엔진 개발을 주관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 국내 인공위성 벤처기업인 쎄트랙아이를 인수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 또한 보유한 상태다.
또 한화시스템은 영상레이더 등 위성탑재체, 위성안테나, 통신단말기 등 지상체를 개발중이다. 한화는 고체로켓 분야에서 추진기관, 항법장치에서 국내에서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추기도 했다.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는 지난 8일 사전브리핑에서 "우주 관련 기술들이 여러 계열사에 흩어져 있었는데, 이를 하나로 모아서 탄생시킨 것이 스페이스허브"라며 "스페이스허브는 한화그룹의 우주종합상황실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대표는 "단기적으로 우주발사체와 위성개발에 집중하고 장기적으로는 통신항법위성, 우주에너지, 우주쓰레기 수거, 소행성과 달 탐사 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생각"이라며 "이를 통해 한화는 세계우주산업을 선도하는 K-스페이스 시대의 대표 기업이 되겠다"고 제시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역시 우주산업 확장에 팔을 걷었다. KAI는 그동안 다목적실용위성 제작, 정지궤도복합위성 등의 연구개발에 참여하면서 핵심 기술을 확보한 상태다. 한국형발사체 총조립 및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을 주관하며, 군정찰위성 연구개발도 담당하고 있다.
한창헌 KAI 상무는 "최근에는 카이스트 등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들과 공동연구 MOU를 체결해 앞으로 새롭게 진출하게 될 저궤도소형위성사업과 발사서비스, 위성정보 및 영상서비스 분야에서 전략적 제휴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성장기회를 잡기 위해 뉴스페이스 태스크포스를 설치·운영하면서 주 사업인 군용기 수출 시 항공기와 위성을 패키지로 연계하는 등 국내를 넘어 해외로 시장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상무는 "KAI는 2030년까지 매출 10조원을 달성해 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항공우주 체계 종합체가 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