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이커머스 패권 장악에 나선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이커머스 패권 장악을 위해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는 전자상거래(e-커머스) 사업 확대를 위한 실탄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부동산 등 유동 자산을 매각해 디지털 자산을 불리는 방향으로 자금 전략을 수정하는 모습이다. 소비 패러다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전환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사진=신세계] 2020.06.04 nrd8120@newspim.com |
◆정용진, 이마트 성수점 본사까지 매각...자산의 디지털화에 초점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가 사울 성수동 본사 건물 매각을 추진한다. 자문사로 CBRE를 내정한 것을 전해진다. CBRE는 세계 최대 규모의 상업용 부동산 투자 회사다.
이마트는 건물을 매각한 뒤 재임대하는 방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마트는 최대 1조원가량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성수동 사옥과 부지의 장부가는 960억원이다. 이마트가 보유 중인 할인점 중 장부 가치로만 상위 10위 안에 드는 금액이다. 그야말로 알짜 점포다. 앞서 4월에 6800억원에 매각한 가양점 장부가(435억원)의 두 배에 이른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이마트 성수동 본사. [사진=이마트] 2021.07.08 nrd8120@newspim.com |
이마트의 본사 매각 가능성은 지난해부터 흘러나왔지만 정 부회장이 달가워하지 않아 실행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올해 초 쿠팡 상장이 변곡점이 됐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쿠팡이 지난 3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으로 79조원(지난 7일 장마감 기준) 넘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것에 정 부회장이 충격을 받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현재 이마트의 시가총액은 4조3347억원이다. 신세계(2조7025억원)까지 더하면 7조372억원에 이른다. 쿠팡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에도 못미친다. 이마트의 유·무형 자산이 46조원에 달하지만 시가총액은 턱 없이 낮다는 문제 의식이 정 부회장의 인식 전환의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자산 유동화 목적도 초기와는 달라졌다. 이마트는 2019년부터 자산 유동화를 자금조달 방안으로 활용해 왔다. 전면에 내세운 건 재무 건전성 강화였다. 앞서 2019년 10월 이마트는 13개 점포와 토지를 매각해 9525억원의 자금을 수혈했다. 처분 금액은 직전 해인 2018년 말 기준 자산총액의 5.69%에 해당한다.
2년 전 이마트의 차입금은 크게 늘어 순차입금만 5조2500억원으로 급증했다. 부채비율도 상승곡선을 그렸다. 2016년부터 3년간 80%대를 유지하던 부채비율은 2019년 1분기 109.2%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자산 유동화는 계속됐지만 사용처는 차이를 보인다. 지난해엔 서울 강서구 마곡동 부지를 8200억원에, 올해는 서울 강서구 가양동 부지(약 6800억원)를 팔아 자금을 확보했다.
해당 자금은 이베이코리아 인수하는 데 쓰일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자산화 일환에서 진행된 것으로 풀이된다. 2019년 SSG닷컴 출범 시기부터 그룹 내에서 통용되던 디지털 자산화는 오픈마켓·셀러·유료고객·IT 인력 등 온라인 사업을 위한 모든 자산을 일컫는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2021.06.25 nrd8120@newspim.com |
◆"온라인 강자만이 산다"...배송 인프라 확충 위한 실탄 확보
정 부회장은 지난 달 24일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계기로 온라인·디지털로의 대전환을 선언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신세계그룹은 단숨에 네이버에 이어 이커머스 2위 사업자로 올라섰다. 이로써 이커머스 업계는 네이버, 신세계, 쿠팡 '3강 체제'로 재편됐다. 이베이코리아(20조원)와 SSG닷컴(4조원가량) 합산한 신세계의 이커머스 거래액은 24조원으로 급증했다. 쿠팡보다 2억원 많은 규모다.
이는 정 부회장이 최근 임원들에게 강조하는 '디지털 자산' 개념과도 맞닿아 있다. 유통 환경이 급격히 변하는 시점에 부동산을 깔고 앉아 있는 건 적절치 않다는 것이 정 부회장의 판단이다. 오히려 부동산 자산을 온라인 사업에 투자해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는 게 낫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면에는 오프라인 유통사업의 높아진 불확실성도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오프라인 사업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사람들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기를 꺼린 탓이다.
생필품도 온라인에서 사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오프라인 시대는 빠르게 저물고 있다.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이기도 하다.
유통 업계에선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 지분 80%를 3조4404억원에 사들이는 것도 '과감한 베팅'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정 부회장은 이베이코리아 인수 추진 과정에서 "얼마에 사느냐가 아니라 얼마짜리 회사로 키울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임원들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후 온·오프라인 시너지 효과에 대한 정 부회장의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는 이커머스 시장의 미래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마트가 사업의 무게를 온라인으로 옮기는 것도 이러한 온라인 성장세에 올라타 오프라인의 부진을 상쇄하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여기에 더해 온·오프라인 시너지를 강화해 코로나19 위기를 벗어나겠다는 절박함도 묻어난다.
연간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구성비 (단위:%) [자료=통계청] 2021.02.03 204mkh@newspim.com |
현재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세는 매우 가파르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61조1234억원원으로 급성장했다. 사상 최대 실적이다. 올해는 전년 대비 17% 늘어난 188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역대 실적을 또 한 번 갈아치우는 셈이다.
향후에도 이마트는 배송 역량 강화를 위해 자산 유동화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점쳐진다. 이베이코리아의 배송 역량 강화를 위해 온라인 풀필먼트 센터 확충이 필요하다. 유통업에서 배송 속도는 실적과도 직결된다.
쿠팡이 올해 제주도를 끝으로 전국 배송망을 갖춘 만큼 배송 인프라 구축은 이커머스 시장에서 중요한 승부처로 떠올랐다. SSG닷컴은 이달부터 새벽배송 서비스 범위를 수도권을 넘어서 충청권까지 넓힌다는 계획이지만 쿠팡에 비해 배송 인프라 경쟁력에선 뒤처진다.
배송 역량 강화를 위해 이마트는 향후 4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해 온라인 풀필먼트 센터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마트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자산 효율화 작업을 벌여 왔다"며 "오프라인 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해 자산 가치를 제고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 왔고 현재도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이마트 성수동 본사 매각은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nrd812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