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정수 기자 = 기혼 여성이 고용률을 회복하기까지 21년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기혼 여성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사진=한국경제연구원] |
보고서는 한국노동패널의 2009년~2019년 자료를 활용해 결혼 연차 기준에 기혼 여성(25~64세 기준) 고용률은 결혼과 동시에 크게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반면 남성의 경우 결혼 후 고용률은 소폭 증가한 뒤 큰 변화가 없었다.
기혼 여성의 결혼 당시 고용률은 약 68.1%에서 결혼 1년차에 약 56.2%로 감소했다. 결혼 5년차에는 약 40.5%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결혼 6년차부터는 고용률이 조금씩 증가했다. 기혼 여성은 결혼 당시의 고용률을 회복하기까지 결혼 후 약 21년이 소요됐다.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2009년 48.8%에서 2019년 57.6%까지 증가한 반면, 미혼 여성의 고용률은 2009년 73.2%, 2019년 71.6%를 기록했다. 남성은 2019년 기준 기혼 남성 고용률은 92.3%로 미혼 남성 고용률 69.7%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미혼 여성과 기혼 여성의 고용률 격차는 학력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났다. 2019년 기준 고졸 이하 학력의 미혼 여성 고용률은 약 59.9%, 기혼 여성 고용률은 약 56.9%로 격차는 크지 않았다.
하지만 대졸 이상 고학력의 경우 미혼 여성은 약 74.4%, 기혼 여성은 약 58.4%로 고용률 격차는 약 15.9% 포인트를 기록했다.
기혼 여성의 결혼 이후 취업유지율(취업확률)에 출산은 경제활동 참여를 가장 어렵게 하는 요인이었다. 다른 요인들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직장 여성(결혼 당시 취업 여성)은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유지율이 약 29.8% 포인트 감소했다.
두 자녀 때는 약 30.2%포인트 감소, 세 자녀에는 약 24.0%포인트 감소했다. 네 자녀가 있는 경우는 약 38.4%포인트까지 감소했다.
미취업 여성의 취업확률을 감소시키는 요인은 역시 출산이었다. 자녀가 1명 있을 경우 취업확률은 약 7.2% 포인트 감소했다. 두 자녀와 세 자녀 때는 취업확률이 각각 17.6%포인트, 16.5%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남성은 자녀가 있을 경우 오히려 취업확률이 증가했다. 결혼 당시 미취업 남성의 경우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확률은 오히려 약 24.2%포인트 늘었다. 두 자녀 때는 23.9%포인트 증가했다.
부모와의 동거는 직장 여성의 취업유지율에 긍정적이었다. 부모와 동거를 하고 있을 경우 직장 여성 취업유지율은 약 12.6%포인트 늘었다.
유진성 한경연 연구위원은 "최근 1인 가구 비중이 급증하는 등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지만 세대간 공동거주를 통해 직장여성의 경우 육아 부담을 완화하고 세대 간 가족부양으로 노인 빈곤율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freshwate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