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무협 "반도체 산업 자국 보호 강화..기업·정부 협력해야"

기사등록 : 2021-08-31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무협 '반도체 산업정책과 공급망 변화 전망' 보고서 발간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공정별·국가별로 분업화된 기존 반도체 공급망이 미·중을 중심으로 양분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미국 등 주요국이 자국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성을 중시하며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선 기업과 정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31일 발표한 '주요국의 반도체 산업정책과 공급망 변화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향후 글로벌 반도체 산업 공급망이 ▲국제 분업체계에서 자국 내 분업체계로의 전환 ▲미·중 디커플링(탈동조화) 심화 ▲초미세 공정 경쟁 격화 등의 변화를 보일 것이라 전망했다.

반도체 산업 공급망 변화 전망 [제공=무역협회]

보고서는 "반도체 공급망은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지역 간 전문화·분업화가 이뤄졌지만 최근 코로나19 및 자연재해로 공급망의 병목지점(choke point)에 문제가 생겼을 때 공급망 전체 기능이 정지되는 등의 교란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국은 변화된 대내외적 환경 속에서 효율성에 따른 국제 분업체계 보다는 자국 반도체 산업 보호와 위기로부터의 회복력에 초점을 둔 산업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6월 미국 백악관은 반도체 등 4대 품목의 공급망 점검 보고서를 발표하고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우선순위로 삼았다. 미 의회 역시 52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 법안(CHIPS for America Act)을 추진 중이다.

중국 또한 '반도체 국산화'를 최우선 목표로 내걸며 대규모 국가 펀드 지원을 통한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 밖에 유럽연합(EU), 대만, 일본 등도 자국 반도체 산업 진흥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중 반도체 산업의 디커플링 확대도 핵심 변화로 꼽힌다. 보고서는 최근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와 이에 대한 중국의 맞대응을 두고 "미·중의 기술을 활용하거나 소재·장비를 공급하는 제3국의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끼쳐 세계 반도체 공급망을 양분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첨단 산업에 활용가능하며 부가가치가 높은 초미세공정 반도체 설계·제조 기반을 선점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규섭 무역협회 연구원은 "주요국은 반도체를 단순한 상품이 아닌 핵심 안보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수차례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앞으로 반도체 전쟁에서도 경쟁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syu@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