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한국전력공사가 8년만에 전기요금 인상을 단행했다. 인상폭은 1㎾h당 3원으로 월평균 350kWh를 사용하는 주택용 4인 가구 한 달 전기요금은 약 1000원 인상될 전망이다.
한전이 지난 2분기 6개 분기만에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 2개 분기 연속으로 작동하지 않았던 연료비연동제가 3분기만에 처음으로 가동하면서 조금이나마 한전의 수익성 개선에 보탬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다만 원가상승분을 충분히 반영하기 못해 비용 부담은 여전한 상황이다.
한편 향후 전기요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내년 중순까지 국제유가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 하반기 수익성 개선 기대감에도 큰 폭 개선 힘들 전망
23일 한전이 발표한 '2021년 10~12월분 연료비조정단가 산정내역'에 따르면 4분기 연료비 조정단가는 ㎾h당 0원을 적용한다.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인 1㎾h당 -3원보다 3원 인상한 것이다.
지난해 말 전기요금 체계를 개편하면서 연료비연동제를 도입한 이후 첫 인상이다. 정부는 물가안정을 이유로 앞서 지난 2분기와 3분기 전기요금 인상을 유보한 바 있다.
2차례에 걸친 전기요금 인상 유보로 한전은 지난 2분기 6개 분기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한전의 2분기 연료비와 전력구입비는 작년 동기보다 1조2868억원(8.1%)이나 증가했지만, 전기요금은 올리지 못해 전기판매수익은 1.0% 늘어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이 기간 한전은 7648억원대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은 한전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뒤 나와 하반기 수익성 개선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인상폭이 크지는 않지만 전년 수준으로 전기요금을 회복했기 때문이다.
한전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주가에 영향을 주는 실전전망을 내놓을 수는 없지만 지난해 수준으로 전기요금이 회복된 만큼 어느 정도 수익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증권가에서는 연료비 조정단가(10.8원/㎾h)와 인상가(3원/㎾h)사이에 갭이 커 실적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4분기 전기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h당 7.37원의 추가 인상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급등한 석탄가격과 유가, 환율 등이 실제로 적용되는 2022년 1분기에는 ㎾h당 20원 이상의 추가적인 인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국제유가 상승 전망·탈원전 비용 정산…향후 지속 인상 가능성↑
한편 향후 전기요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내년 중순까지 국제유가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한국전력공사가 올해 4분기 부터 적용되는 전기요금을 8년만에 인상하기로 결정한 23일 오후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의 전력계량기가 돌아가고 있다. 2021.09.23 kilroy023@newspim.com |
최근 OPEC+ 공동기술위원회(JTC)는 석유시장전망보고서에서 석유소비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됨에 따라 연말까지 전세계 공급부족분이 90만배럴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요국의 석유재고량도 내년 5월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내년에도 유가 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올겨울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지난 1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공급이 제한된 상황에서 평소보다 겨울 한파가 강하게 나타날 경우 전 세계 석유 수요가 하루 100만배럴에서 200만배럴로 급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연말 유가가 배럴당 최대 1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탈원전 비용을 전기요금으로 충당하게 되는 점도 인상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정부는 오는 12월부터 탈원전 정책으로 조기폐쇄되거나 백지화된 원전 사업 비용을 전기요금으로 충당하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시행한다.
개정안에 따르면 전력산업기반기금(전력기금)으로 원자력발전 감축을 위해 발전사업 또는 전원개발사업을 중단한 사업자의 비용을 보전할 수 있도록 한다.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월성 1호 조기 폐쇄 이후 신한울 3·4호기 건설 보류 등 7기 원전의 사업 변경으로 발생한 손실은 1조5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