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미리보는 증시재료] 블랙프라이데이 소비심리 '들썩'... FOMC 회의록 내용 '촉각'

기사등록 : 2021-11-22 09: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미국 소매판매 3개월 연속 상승세에 뉴욕 증시도 신고가
한은, 기준금리 1%로 인상할 듯... "추가 인상 여부 밝힐 것"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19일 오후 2시00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11월 넷째 주(22~26일) 연중 최대 쇼핑 시즌인 '블랙 프라이데이'가 돌아온다. 미국의 소비 심리 개선이 국내외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블랙 프라이데이 흥행 여부에 투자자들 관심이 모인다.

투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 공개도 앞두고 있다. 통화정책 변화에 대한 온건한 입장이 많을수록 시장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국내에선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로선 현행 0.75%인 기준금리가 1%로 인상될 전망이다.

'지상 최대 소비 축제'로 불리는 블랙 프라이데이가 오는 26일(현지시간) 열린다. 제조업체와 유통사들은 쌓아뒀던 재고를 할인가로 처리하고 소비자들은 연중 가장 큰 할인율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다. 코로나19로 움츠렸던 소비 심리가 되살아날지 주목된다.

특히 미국은 최근 소비 심리가 되살아나며 뉴욕 증시에도 활력을 주고 있다. 17일 발표된 미국의 10월 소매 판매 수치는 전 월 대비 1.7% 증가했다. 이는 최근 7개월 새 최대 증가 폭이며, 시장 전망치(1.4%)를 웃돈 결과다. 또 3개월 연속 소매판매가 증가하며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중 주요 지수들이 이달 들어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가계 소비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당초 공급망 혼란으로 인한 물가 상승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켰다. 뉴욕 증시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국내 증시로서는 호재로 풀이된다. 또 코로나 영향권에서 소외됐던 소비 관련 경기민감주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식시장에서 성장주로 쏠림이 강한 상황인데 11~12월 미국 소비 성수기 매출 호조는 이를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연말까지 미국 소비 관련 대형 경기민감주를 사모아 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레호보스비치 로이터=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델라웨어 주 레호보스비치 시민들이 '블랙프라이데이(추수감사절 다음 날)'를 맞아 쇼핑을 즐기고 있다. 2020.11.27 bernard0202@newspim.com

현지시간으로 24일 공개될 FOMC 회의 의사록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연준 의원들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과 내년도 통화정책 변화에 대한 의견이 확인될 예정이다.

연준은 지난 3일(현지시간) FOMC에서 이달 중 채권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을 개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기준금리는 현행 0~0.25%를 동결했다.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지며 조기 금리 인상 전망이 늘었지만 "(테이퍼링 시행이) 금리 이상을 고려하는 직접적 신호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박석현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책 변화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을수록 시장 부담이 커지겠지만, 반대로 온건한 정책 의사가 확인될 경우 시장 안정이 강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선 한국은행이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전망이다. 현행(0.75%)보다 0.25%p 올린 1% 가능성이 높다. 다만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한국 시중금리는 벌써 2회 금리 인상을 선반영 중이며 최근 한국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회의론이 불거지고 있어 한국은행이 금리인상 의지에 대해 톤 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도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차후 추가인상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라며 "조정에도 불구하고 통화량이 증가하는 점, 금융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점 등이 근거로 언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zuni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