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민경하 기자 = 서울시가 지역공공화폐 '서울사랑상품권' 운영사업자를 변경한 이후 곳곳에서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가 무리하게 자체 간편결제 시스템 '서울페이+'(서울페이)를 추진한 부작용 때문이라는 핀테크 업계의 지적이 나온다.
28일 서울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이후 서울사랑상품권을 구매한 일부 가맹점주와 고객들이 상품권 구매·결제 과정에서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커뮤니티 '아프니카 사장이다'에 한 가맹점주는 "서울사랑상품권으로 결제를 받기 위해 서울페이를 깔았지만 개인 아이디로 가입돼 결제가 안된다"며 "제로페이, 서울페이 콜센터, 다산 콜센터까지 모두 해결 방법을 알려주지 않아 답답하다"는 내용의 게시글을 올렸다.
[자료=서울시] |
서울시는 지난해 하반기 서울사랑상품권 위탁사업자를 제로페이 운영사인 한국간편결제진흥원(한결원)에서 신한컨소시엄(카카오페이·신한은행·신한카드·티머니)으로 교체했다. 지난 20일에는 제로페이를 대신할 서울사랑상품권 결제수단으로 서울페이를 새롭게 출시했다.
하지만 지난 24일부터 판매된 서울사랑상품권은 일부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결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페이 앱 자체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례가 있는가 하면 결제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않아 불편하다는 가맹점주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서울시는 지난 25일 입장문을 통해 "서울페이 앱 먹통과 관련해 이용자 급증으로 10분간 20여 명이 상품권 구매 시 금액 인출 지연으로 불편을 겪었다"며 "이후 신속한 시스템 증설로 앱 설치·상품권 판매가 정상적으로 진행됐다"고 해명했다.
문제가 해결됐다고는 하지만 현장의 불만은 여전하다. 서울페이는 현재 전용 인프라를 구축 중에 있어 제로페이 결제망을 임시로 이용하고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기존 제로페이와 서울페이를 분리해서 결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겼고 가맹점주 입장에서는 하나의 QR코드로 2개 앱의 결제를 받아 혼란이 가중되는 문제가 생긴 상황이다.
핀테크 업계에서는 예견된 문제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서울페이 만의 QR코드를 별도로 배포하지 않고 기존 제로페이 QR코드를 사용하면서 발생한 문제"라며 "성급하게 서울페이를 추진하다가 가맹점주들에게 정확한 가이드를 전달하지 못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의도적으로 박원순 시장 시절 도입된 제로페이 이용률을 낮추기 위해 상품권 사업자를 변경했다는 주장이 나온다. 초기 이용률이 낮았던 제로페이는 서울사랑상품권 판매로 크게 실적을 올린 경험이 있다. 여전히 카카오·신한 등 대형 금융사들의 결제데이터 확보가 부적절 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제로페이 등 기존앱과 서울페이 모두 서울사랑상품권 결제가 가능하지만 오는 3월부터는 서울페이만을 이용해야 한다.
한편 서울시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최근 결제오류 사태의 책임을 한결원으로 돌렸다. 서울시 측은 "상품권 사업자가 변경된 만큼 기존 판매대행 업무를 수행하던 한결원과 비즈플레이는 관련자료 일체를 이관할 의무가 있다"며 "일부만 불완전하게 이관해 가맹점과 이용시민에게 불편을 초래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결원의 데이터 이관 업무가 협약서에 정한 2월 28일까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협조를 촉구한다"며 "원만한 이관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법적 검토를 통해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결원은 서울시의 주장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한결원은 "한결원이 보유한 서울사랑상품권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2021년 12월말과 1월초에 이미 서울시에 송부했다"면서 "해당 정보를 서울페이+ 앱의 운영에 맞게 처리하는 것은 서울시와 신한카드컨소시엄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204m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