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하이닉스 SK편입 10년]上 최태원의 결단…때 빼고 광 내니 '효자'

기사등록 : 2022-02-11 08:5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태원 회장, 주변 반대에도 과감히 인수 결정
만성 적자 기업에서 지난해 시총 100조로 우뚝
과감한 투자·SK혁신문화 이식 등 영향

[편집자] 10년 전 적자에 허덕이던 변방의 반도체 기업은 이제 명실공히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 반열에 올랐다. SK하이닉스 이야기다. SK하이닉스가 오는 14일로 SK그룹 편입 10주년을 맞는다. SK하이닉스의 10년 간 성장 과정은 '반전과 역전의 기록'으로 불린다. 앞으로의 10년은 또 어떤 역사로 기록될까. 뉴스핌이 SK하이닉스의 과거 10년을 짚어보고 미래 10년의 청사진을 살펴봤다.

[서울=뉴스핌] 임성봉 기자 = 2011년 3분기 영업적자 2909억원, 4분기 1065억원. 하이닉스반도체가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인수자를 찾던 당시 성적표다. 지금처럼 반도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던 시기였고 하이닉스반도체의 미래 가능성은 더더욱 장담할 수 없었다.

◆ '떨어지는 칼날' 잡은 SK

2009년 단독으로 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한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던 효성은 결국 인수의향을 철회했다. 1차 매각이 불발되면서 분위기도 급속히 얼어붙기 시작했다. 같은해 12월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공개경쟁입찰을 통한 M&A 추진 매각공고를 냈지만,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 2차 매각도 허무하게 불발됐다.

주주협의회는 고심 끝에 하이닉스반도체 3차 매각에 나섰다. 업계 안팎에서는 '떨어지는 칼날을 누가 잡겠냐'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3차 매각공고 5개월 뒤 입찰에 참여하겠다는 기업이 나타났다. 바로 SK텔레콤이다.

SK가 하이닉스반도체 인수전에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역할이 컸다는 평가다. 당시 SK 내부에서는 반도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는 데다 인수자금이 막대해 큰 부담이라며 반대 의견이 컸다.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장 초청 정책강연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2.01.13 kilroy023@newspim.com

그럼에도 최 회장은 향후 반도체 산업이 폭발적으로 덩치를 불릴 것이라고 확신해 임원진 설득에 나섰다. 이후 최 회장은 과감하게 인수 결정을 내리면서 하이닉스는 오랜 방황 끝에 지난 2012년 SK의 품에 안기게 된다.

최 회장은 단순히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는 것을 넘어 대대적인 투자도 아끼지 않았다. 편입 직후인 2012년 SK하이닉스는 전년 대비 10% 이상 늘린 3조 8500억원을 투자했다.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대부분 반도체 기업들이 투자를 축소하던 상황에서 SK는 오히려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했다. 연구개발비 역시 지난 2011년 8340억원에 불과했으나 SK 편입 이후 2013년에는 1조원으로 대폭 늘렸다.

초기 투자가 뒷받침 되지 않고서는 견조한 실적을 담보할 수 없다는 최 회장의 판단은 적중했다. 업황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어지던 영업손실은 편입 이후인 2012년 4분기부터 흑자로 전환됐다. 반도체 다운사이클이었던 지난 2016년, 2019년을 제외하고는 매출과 영업이익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프를 그리기 시작했다.

◆ 숨은 공신 '박정호 부회장'

SK하이닉스의 변신과 성장에 빼놓을 수 없는 또 다른 인물이 바로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이다.

최 회장이 하이닉스 인수에 물꼬를 텄다면 박 부회장(당시 SK텔레콤 사업개발부문장)은 내부 여론을 조정하는 등 물밑에서 작업을 진두지휘하는 등 드러나지 않는 곳에서 부지런히 움직였다.

특히 SK하이닉스 인수전 당시 SK텔레콤의 주가가 곤두박질 치는 등 내·외부적 부담이 큰 상황이었음에도 박 부회장이 어려운 역할을 자처하면서 내부 여론을 조율하는데 성공했다.

아울러 그는 지난 2017년 일본 키옥시아 투자에도 행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 부회장은 당시 투자를 진행하기 위해 직접 일본을 수차례 방문했고 최 회장이 도시바 경영진을 만날 때도 자리에 함께 했다.

아울러 박 부회장은 지난 2020년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 사업부문을 인수하고 이듬해 키파운드리 인수 등 굵직한 사안마다 최 회장과 함께 SK하이닉스의 질적 성장을 꾀했다.

박 부회장은 SK 안팎에서도 추진력과 설득력이 뛰어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고, 최 회장의 두터운 신임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박 부회장은 과거부터 'M&A 승부사'라고 불릴 정도로 과감하고 빠른 판단이 특출난 인물로 꼽힌다"며 "최 회장의 과감한 경영철학과도 상당히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 내연·외연 확장한 '10년'

그룹 인수 이후 SK하이닉스는 적기 적소에 투자를 진행해 2015년 M14와 2018년 M15, 2021년 M16을 준공했다. 2017년에는 한·미·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일본 당시 도시바메모리(현 키옥시아)에 투자했고, 2020년에는 인텔 낸드 사업부문 인수 계약을 맺었다.

SK하이닉스 이천 M16공장 전경 [사진=SK하이닉스]

지난해에는 채권단 관리 시절에 매각했던 매그나칩반도체의 파운드리 사업부인 키파운드리 인수 계약을 맺는 등 사업 다각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나섰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라는 단어조차 생소했던 지난 2018년, SK하이닉스는 사회적 가치(SV) 창출에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SV는 기업이 지속가능하고,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최태원 회장의 철학에서 시작된 SK그룹 고유의 기업문화 중 하나다.

최근에는 내부적으로 기업 문화를 재정비하는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눈높이에 맞추는 체질 개선을 진행 중에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기업문화 Upgrade TF'를 신설했다. 사내 각 부문의 최고책임자들이 TF에 참여해 글로벌 기술기업에 걸맞는 기업 문화를 구축한다는 취지다.

박 부회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1등 기업을 키운 경험을 바탕으로 ICT 분야 글로벌 수준에 맞게 우리 구성원들이 일하는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우수한 기업문화를 만들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imb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