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코로나를 피해 택한 '농촌행'이 2년을 넘어설 것이라고는 생각치 못했다. 툭하면 온라인으로 수업하는 서울 학교와는 다르게 매일 등교수업을 하는 농촌 학교의 수업 방식이 마음을 사로잡았다. 천식과 알레르기로 항생제를 달고 사는 큰아들의 건강이 나아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도 있었다.
고민도 많았다. 발품을 팔아 어렵게 알아낸 학원을 포기해야 했고, 편의시설이 인접한 아파트 생활도 포기해야 했다. 하지만 농촌으로 내려온 후 큰 아이는 항생제를 더 찾지 않았고, 주위 친구들을 살피고 학교의 역할을 깨달아가는 아이들을 보게 됐다.
지난 15일 전남 곡성군에서 만난 서지연(41·여) 씨는 농촌유학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서씨는 지난해 3월 곡성군 오산초등학교로 두 아들을 유학보내며 농촌생활을 시작했다.
농촌유학 프로그램이 지난해 처음 도입됐으니, 서씨는 소위 '창립 멤버'인 셈이다. 현재 농촌유학을 준비하는 학부모들은 서씨가 운영하는 '시골학교 유학일기'라는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얻어가고 있다고 했다.
곡성 죽곡초등학교 6학년 수업 모습[곡성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2.03.15 wideopen@newspim.com |
◆"지역 특성, 교과 과정에 녹이는 게 핵심"
농촌유학은 농산어촌 소재 재적수 60명 이하의 소규모학교가 서울 등 대도시 소재 학교의 학생을 전학생으로 받아 6개월 이상 학사 과정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농촌학교로 전학오는 학생은 원적이 유지되기 때문에 '유학' 기간이 끝나면 애초 본인이 다녔던 학교로 돌아갈 수 있다.
올해 농촌유학은 크게 온 가족이 내려와 체류하는 '가족체류형', 지자체가 정한 시설에서 기숙하는 '지역센터형', 농가에서 생활하는 '홈스테이형'으로 나뉜다. 선호가 높은 가족체류형은 자녀수에 따라 업무협약을 맺은 교육청들이 임대료 명목 등으로 매월 최대 80만원을 나눠서 지원한다.
특히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농촌유학 참가학생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한다. 전라남도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해 1학기 처음 모집한 농촌유학생은 81명이었지만, 올해는 223명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전남의 농촌유학 배정학교는 초등학교 32개, 중학교 11개다. 지역은 구례, 순천, 곡성, 화순, 해남, 영암, 장성, 강진, 광양, 함평, 신안, 무안, 담양, 장흥, 완도, 나주, 보성, 진도 등 18개다.
농촌유학 연장율도 높았다. 서울시교육청이 집계한 농촌유학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1학기 신청자 중 한 학기 연장자는 57명(70.3%), 두 학기는 26명(45.6%)이었다. 두 학기 이후에도 농촌유학을 이어갈 경우 거주비를 지원받지 못하는데도 일부 학부모는 스스로 비용을 지불하며 농촌학교에 자녀를 보내는 것으로 파악됐다. 2년째 곡성에 머무는 서씨의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곡성 죽곡초등학교 6학년 수업 모습[곡성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2.03.15 wideopen@newspim.com |
도시에 비해 유명 학원도, 교육 인프라도 상대적으로 부족한 농촌학교 생활에 만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씨를 비롯해 농촌유학을 경험한 학부모들은 "학교가 지역의 특성을 교과 과정에 녹여서 수업을 하는데, 서울 학교에서는 할 수 없는 방식"이라고 입을 모았다. 곡성군의 학교는 숲 체험과 같은 지역의 특색을 교과 과정에 반영해 수업하는 중이다.
또 다른 학부모인 이하정(40대·여) 씨도 "농촌유학의 핵심은 교과과정에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전남 순천 월등초등학교에서 두 자녀와 농촌유학을 한 이씨는 1년 동안의 생활을 정리해 '슬기로운 농촌유학'이라는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이씨는 "순천 월등은 복숭아가 많이 나오는 지역으로 마을과 학교에서 공동으로 '복숭아 생태체험'이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아이들이 모든 과정을 체험하면서 생태 학습 이외에도 '그냥 얻어지는 것은 없다'라는 교훈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과정을 보았다"고 말했다.
이어 "농촌으로 유학을 오는 학부모들의 공통 고민이 '학습·학원·교우관계'로 보인다"며 "한 학년 정원이 3명에 불과하지만, 방과후 교실이 9과목에 달하는 등 다양한 수업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오른쪽 첫 번째)과 장석웅 전남교육감이 농촌유학에 참가한 학생들과 기념 촬영 중이다/제공=서울시교육청 [곡성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2.03.15 wideopen@newspim.com |
◆학생들 학습활동·규칙 이해력도 높아져
농촌유학을 마치고 복귀한 학생들의 생활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관심도 모아지고 있다. 농촌유학을 떠났다가 원래 학교로 복귀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학기를 기준으로 학교생활 적응 점수는 비교적 낮았지만, 학습활동 및 학교규칙 영역의 적응 점수는 높았다.
초등학생의 경우 학교생활적응 점수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2.58로 비교적 낮았지만, 학습활동 및 학교규칙에 대한 점수는 4.00으로 높게 나타났다. 농촌유학 이후 심리·정서적 상태는 초등학생은 자아존중감이 4.67점, 삶의 만족도가 4.00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곡성으로 유학을 떠난 학생들에게서도 이 같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교생이 1000명 넘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 다니다 전교생이 36명에 불과한 곡성 죽곡초등학교에 유학온 정재희(9) 양은 "매일 학교에 가는 게 좋다"며 "서울에서는 학원, 유튜브 보는게 전부였는데, 친구들과 어울리는 게 좋다" 말했다.
부산의 한 초등학교에 다니다가 올해 새 학기 죽곡초에 유학온 류시헌(12) 군은 "텃밭 가꾸기 체험이 가장 기대되는 수업"이라며 "불과 보름만에 친구들뿐 아니라 저학년 동생들의 이름을 모두 외우게 될 만큼 함께 어울리는게 많아졌다"고 말했다.
한편 농촌유학은 지역을 살리는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서울 동작구에서 두 자녀와 농촌으로 유학 온 김미진(38·여) 씨는 "주말에는 곡성에서 모든 가족이 모인다"며 "자연스럽게 귀촌 체험으로 연결되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