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아영 인턴기자 = 서울 2030 인구가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21년 기준 시내 2030세대는 286만명으로 서울 인구 중 30.1%를 차지하고 있으나 2017년과 비교 했을 때 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실내활동으로 보내고 있으며 근무 형태나 소득, 성평등 등과 관련해 남녀 간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1 서울서베이' 통계를 6일 발표했다. 주거, 일상, 직장, 여가생활, 의식 등 2030세대의 평균적인 삶의 모습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청년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조사에는 ▲인구, 거주지 등 현황 ▲일상(여가, 수면·스트레스) ▲일과 경제상태(직장생활) ▲의식(사회계층 이동, 결혼관, 사회적 약자와 공정에 대한 인식) 등에 초점을 맞췄다.
서울 2030 인구 추이. [자료=서울시] |
◆ 30대 순유출 두드러져…사유는 '집값'
서울시 전출인구 2명 중 1명은 2030세대이다. 비율상으로는 2030세대 5명 중 1명이 전출·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중 20대는 순유입이 많고 30대는 순유출이 많다. 2015년과 비교하면 서울시 전체 인구 감소 비율(-5.1%)보다 2030세대의 감소(-8.2%)가 더욱 두드러져 20대의 유입보다 30대의 유출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2030세대 10명 중 6명(58.3%)은 서울에 20년 이상 거주했으며 최근에는 이들 인구도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주요 전출 사유는 20대는 가족·직업, 30대는 주택·가족이고 전입 사유는 2030세대 모두 가족과 직업이었다. 특히 30대에만 주택이 유일하게 사유로 집값의 영향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종수 스마트도시정책관은 "2030세대 중 30대 유출이 많고 이동 유인도 20대와 달리 주택이 거론됐다. 이를 서울시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내 2030세대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관악구(39.9%), 광진구(34.2%), 영등포구(34.9%)이고 낮은 자치구는 노원구(26.0%), 도봉구(25.4%), 양천구(25.3%)였다. 거주지 형태는 아파트(42.8%), 다세대·연립주택(28.1%) 순으로 점유 형태는 부모님 소유 집을 포함한 자기집(35.8%), 보증금 있는 월세(32.3%), 전세(29.4%) 순이었다. 이는 관악구에 학생이 많고 부모님과 사는 경우가 주를 이루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30세대의 55.4%는 다른 시·도나 시내 다른 구로 통근·통학하고 있었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통근·통학 비중이 감소해 50대 이상은 돼야 거주 구나 인접 구로 이동하는 직주 근접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통학에는 주로 대중교통(71.5%)을 이용하며 특히 20대는 76.4%, 30대는 66.6%가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중교통 이용 시민 전체 평균인 57.9%보다 높은 비율로 도보·승용차 이용 비율 또한 시민 전체보다 낮았다. 이용하는 대중교통은 지하철(25.5%), 버스와 지하철(23.4%), 버스(22.6%) 순이었다.
◆ 여가는 실내 활동 위주…코로나 우울감은 감소
2030세대 절반 이상(주중 60.1%·주말 44.9%)은 여가시간을 영상시청·게임·인터넷 검색 등 실내 활동 위주로 보냈다. 반면 희망 여가 활동은 문화예술관람, 운동, 여행·야외 나들이 등이 다수로 야외활동이나 예술·문화생활 욕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여가 생활 만족도는 38.8%로 서울시민 평균 34.4%보다 높았고 여가 생활을 함께 하는 사람은 친구(37.8%), 혼자(33.2%)순이었다.
수면시간은 고용형태에 따라 달랐으며 수면시간과 스트레스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평균 수면시간은 6시간 49분으로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의 수면시간이 짧았고 2030세대의 절반(46.6%) 정도가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주 원인은 직장·학교 등 사회생활에서의 대인관계(23.0%)와 재정상태(22.7%), 과도한 업무·학습량(22.2%)였다.
한편 2년간 코로나19를 겪으며 우울감은 감소했지만 행복감도 더 낮아졌다. 다만 여성이 우울감을 더 느끼고 남성이 덜 우울한 것으로 나타나 성별 간 차이가 존재했다.
◆ 30대부터 성별 간 소득 차이 두드러져
직장생활을 하는 2030세대는 정규직(67.7%)이 가장 많았고 주 평균 근무시간은 40시간 20분이다. 정규직 다음으로는 무기계약직(19.3%), 기간제 계약직(11.9%), 유급인턴(1.0%) 순이었다.
2030세대는 초과근무를 선호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2030세대의 주 40~44시간 근무 비율은 62.1%로 4050세대(52.1%)보다 높으나 주 52시간을 초과해 근무하는 비율은 3.0%로 4050세대(6.2%)의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고용형태별 평균 근무시간은 정규직 41시간 26분, 무기계약직 40시간 42분, 기간제 계약직 36시간 21분, 유급인턴 29시간 12분이었다.
2030 성별간 월평균 근로소득 분포. [자료=서울시] |
30대에 접어들며 정규직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등 근로소득은 증가하지만 성별에 따른 본격적인 소득차이도 발생했다. 20대 약 50%의 월 평균 소득은 200~300만원으로 성별간 차이가 적었으나 30대에서는 남성의 약 40%는 250~350만원, 여성의 40%는 200~300만원으로 관찰됐다.
◆ 결혼관에는 남녀 차이, 공정 인식에는 세대 차이 존재
2030세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의식은 상대적으로 낮고 결혼관 및 공정에 대한 인식에 성별간 차이가 있었다. 2030세대는 본인과 자녀의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했다. 이는 전체 평균 보다는 낮지만 40대 이상이 생각하는 수준보다는 높았다.
결혼관에서는 남녀 차이가 보였다. 결혼, 출산, 이혼에 대해 여성보다 좀 더 보수적인 입장이었으나 동거에 대해서는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의 사회참여제도 확대' 정책에 대해서도 남녀 인식 차이가 2017년(0.12점)보다 증가(0.49점)했다. 성평등에 대한 공정성 인식 부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반면 세대 간 인식 차이는 적었다. 성별에 대한 공정성 인식도 여성들은 대부분 공정하지 않거나 공정을 덜 느낀다고 답했으며 성평등에 있어서는 상당히 공정하지 않다는 의견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공정성에 있어서 2030세대는 교육기회·취업기회 등에 대해 40대 이상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장애인과 어울리거나 가난에 대한 사회 제도적 책임 등에 대해서도 세대 간 인식 차이가 적었다. 다만 어르신 복지를 위한 세금 부담에 대해서는 40대 이상 세대 간에 인식 차이가 확인됐다.
'2021 서울서베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 정책관은 "이번 분석은 2030세대를 알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2030세대를 위한 직주 근접 개선, 야외 여가 활동 활성화, 여성 근무 형태 및 보수 체계 개선 정책 개발 필요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통계를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younga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