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12년 동안 공을 들여온 프로젝트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2차 발사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 연구자의 말이다.
지난해 1차 발사 때와 마찬가지로 발사 후 16분이 지나면 발사 성공 여부가 갈리지만 그동안 이미 강산이 한 번 바뀌고도 남은 12년이 지난 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을 비롯해 항우연, 프로젝트에 참여한 민간 우주기업 모두 최종 발사 성공을 어느 때보다도 바랄 뿐이다.
◆ 발사 전후 심상치 않았던 누리호 1차…기대 높았던 만큼 아쉬움도 커
지난해 10월 21일 오전 11시 30분께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이 다소 술렁거렸다. 기상 악화 영향에 발사 시각이 늦춰질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가 돌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 분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기상이 발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기상 상태는 기온 영상 17.8도·바람 북서풍 3m/s로 유지되는 등 양호한 상태였다.
지난해 10월 21일 오후 5시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모습 [자료=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2.05.27 biggerthanseoul@newspim.com |
부랴부랴 항우연 관계자는 "관련 연기설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오후 2시 이후 최종 발사 시각을 공지할 것"이라고 긴급하게 알려왔다.
다만 우려가 현실이 됐을까. 오후 2시 30분께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은 예상치 못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누리호 1차 발사 시각이 당초 예고됐던 오후 4시에서 1시간 가량 늦춰졌기 때문이었다. 기술적인 문제라면 발사 연기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당시 용홍택 전 과기부 1차관은 곧바로 열린 사전 브리핑에서 "제5차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 발사에 대한 기술 상황, 기상 상황, 우주 물체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며 "점검에 이어 이날 오후 5시 정각에 누리호 발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밸브 점검 시 추가 사항이 발생, 이를 점검하느라 시간이 지연됐다"고 강조했다.
현장에 같이 있었던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발사체 내부에 있는 밸브를 점검하려면 외부 다른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내부 점검시 하부 시스템에서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직접 기술진이 확인하고 점검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발사체 자체에는 문제가 없고 오전 11시 30분께 기본 점검을 하는 과정에서 온보드 등 발사체 추진기관 기능을 살펴보다 지상에서 공급하는 밸브에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누리호 1차 발사는 오후 5시 정각에 순조롭게 진행됐다. 누리호의 발사체 임무 확인은 발사 후 16분 7초뒤에 확인이 됐다. 다만 오후 5시 46분께 확인할 수 있는 최종 위성모사체의 정상 궤도 안착 여부에 대한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오후 6시 17분께 나로우주센터를 찾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발표에서 누리호의 최종 임무 수행이 실패했다는 점이 확인됐다.
지난해 10월 21일 오후 7시께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열린 '누리호 발사 결과' 브리핑 모습. 3단부 엔진 이상에 대한 내용을 임혜숙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사진 왼쪽에서 세번째)은 브리핑 중 허공을 바라보고 있으며 권현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사진 오른쪽에서 첫번째)은 브리핑 중 기자들을 응시하고 있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10.21 biggerthanseoul@newspim.com |
오후 7시께 프레스룸에서 누리호 3단부 문제로 위성 모사체의 궤도 안착이 되지 않았다는 임혜숙 전 과기부장관의 설명이 이어졌다. 현장에 참석한 권현준 과기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추가 질의 응답이 끝나자마자 울컥하는 감정을 추스리지 못해 프레스룸에서 황급히 빠져나가기도 했다.
지난해 5월 31일자로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을 맡은지 5개월 만에 누리호 1차를 준비해왔던 권 정책관의 기대와 압박감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아쉬움도 컸다는 게 과기부 관계자의 전언이기도 하다.
과기부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만들어낸 발사체를 처음 우주 공간으로 띄워 보내는 일이다보니 정부와 관게기관, 기업 뿐만 아니라 국민적인 기대도 높았다"며 "아쉽지만 이번 2차 발사에서 성공하는 모습을 국민 모두에게 보여줘야 할 때"라고 말했다.
◆ 압박감 더 커진 2차 발사…4차례 신뢰도 향상 발사에도 영향
이미 해외 사례에서도 자체 개발한 발사체의 첫 실패 사례는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1차 발사는 시험발사라는 성격이 짙었다. 위성 자체도 기능이 없는 빈 껍데기인 모사체(더미 위성)였다.
다만 다음달 15일로 예정된 2차 발사는 실전 발사다. 성능검증위성이 탑재된다. AP위성이 개발한 성능검증위성은 누리호의 발사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위성이다. 우주환경에서 탑재체가 설계에 따라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시 탑재될 성능검증위성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5.27 biggerthanseoul@newspim.com |
여기에 큐브위성 4기도 함께 누리호에 올라탄다. 조선대, 서울대, 연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국내 4개 대학 학생들이 약 2년 동안 개발한 것으로, 과기부가 우주전문인력양성의 일환으로 추진했다. 큐브위성들의 임무는 지구대기관측 GPS RO(Radio Occultation) 데이터 수집, 미세먼지 모니터링, 초분광 카메라 지구관측, 전자광학/중적외선/장적외선 다중밴드 지구 관측 등이다.
이렇다보니 과기부를 비롯해 항우연, 민간 우주기업 모두 한마디로 '살 떨리는' 임무 준비에 한창이다. 항우연 한 관계자는 "사실 1차 때보다도 더 긴장되는 날이 이어지는 것 같다"며 "이번에는 모든 공정에서 한치의 실수나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데서 세포 하나하나가 다 깨어있는 느낌"이라고 전했다.
과기부 우주기술과 관계자 역시 "누리호 2차 발사 때문에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있다"며 발사 성공에 대한 압박감을 그대로 드러냈다.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사실 발사체가 얼마나 예민하냐하면 나사를 3바퀴 반을 돌려야 하는 것을 3바퀴만 돌려서도 안되고 같은 작업을 다른 사람이 수행해도 변수가 발생할 정도"라며 "우주개발의 모든 과정은 품질관리인데 이런 부분에서 3단부 이외에도 이번 발사체가 또 새로운 제품이다보니 전과정에서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구나 이번 발사의 성공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는 것은 12년 프로젝트의 마지막 발사이면서도 오는 10월께부터 시작되는 4차례 누리호 신뢰도 확보를 위한 반복발사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누리호 반복발사는 오는 10~11월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탑재한 채 진행된다. 이후 2024년, 2026년 2027년까지 모두 4차례 추가 발사된다. 모두 실제 기능을 하는 위성을 탑재한다.
이를 통해 누리호의 실질적인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게 과기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2차 발사 성공 여부에 따라 반복발사시 누리호 엔진에 대한 추가 개조 여부가 갈리게 된다. 정부 한 고위 관계자는 "이번에 3단부 엔진 부분을 개량했기 때문에 2차 발사가 순조롭게 임무를 완수해 누리호 모델의 표준이 되야 할 것"이라며 "이제는 실질적인 지구-우주간 물류 수송 역할을 해줄 발사체를 보유해 국제 사회에서 우주개발 강국으로서 발돋움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성업체 한 관계자는 "반복발사에 이미 실제 기능을 하는 위성이 다수 발사되지만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위성시대가 활짝 열리게 된다"며 "2차 발사가 그만큼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에 모든 관계자들이 1차 때보다도 거센 압박감을 느끼겠으나 이제는 우주시대를 맞이하면서 그 압박감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