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성소의 기자 = 세계 주요기관들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을 일제히 끌어내리고 있다. 2년 넘게 지속된 코로나19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주요국들의 통화 긴축정책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결과다.
반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대폭 올리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높은 물가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경기가 둔화하는 가운데 물가는 계속해서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공포도 커지고 있다.
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8일(현지시간) 한국 등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을 내놨다. OECD는 한국이 올해 2.7%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고, 내년도에는 이보다 0.2% 포인트(p) 낮은 2.5% 성장을 예상했다.
◆ 주요 기관들, 성장률은 낮추고 물가는 올려
지난해 12월 OECD가 전망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3.0%였다. 불과 6개월 사이 성장률 전망치는 2% 대로 가라앉았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촉발한 원자재 수급난과 국제유가 급등세가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란 우려를 반영했다.
OECD 2022년 6월 경제전망 [자료=기획재정부] 2022.06.08 soy22@newspim.com |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매섭게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OECD가 예상한 올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4.8%다. 이는 지난해 12월 OECD가 발표한 전망치(2.1%)보다 2.7% 포인트(p) 올린 규모다.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면서 내년 국제유가도 크게 오를 것으로 내다봤고, 이것이 이번 물가상승률 전망에 큰 영향을 줬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OECD는 세계경제에 대해서도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OECD가 전망한 올해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각각 3.0%, 2.8%다. 지난해 12월 전망치보다 각각 1.5% 포인트(p), 0.4% 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특히 러시아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유럽국가들의 성장률 하향 조정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OECD 독일(-2.2%), 프랑스(-1.8%), 이탈리아(-2.1%), 스페인(-1.4%) 등 1~2% 가까이 낮췄다.
세계은행도 같은 날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세계은행의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은 2.9%로 지난 1월 발표한 전망치(4.1%)와 비교해 1.2% 포인트(p) 낮아졌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주요국들의 긴축적인 통화·재정정책,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국제유가와 곡물가격 상승, 공급망 병목 등이 겹악재로 작용하면서 부진한 경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 스태그플레이션 경고등...성장 둔화에 물가는 폭주
2년 넘게 지속된 코로나19 유행과 우크라이나 사태가 겹치면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세계은행은 이번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상당하다'는 경고도 함께 제시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소비 여력은 줄어드는데 물가는 올라 살림살이가 팍팍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당국의 딜레마도 깊어진다. 치솟는 물가를 억누르기 위해 통화 긴축정책을 펼치게 되면 반대로 성장이 위축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김기흥 경기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한국도 원자재와 수입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라며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경기는 더 위축될 우려가 있는데, 이를 재정정책으로 보완해서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중심의 핀셋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다만 정부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입장이다. 민간소비가 점차 살아나고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계획을 내놓는 등 아직까지 성장 여력이 존재한다는 이유에서다.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9일 "국내 경제 상황으로 봤을 때, 베이스 시나리오상 스태그플레이션의 확률은 낮다고 생각한다"며 "베이스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 경제가 잠재성장률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경기침체 흐름에 정부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할 때 올해 물가상승률과 성장률 전망치를 수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3.1%로 전망했지만 이번에 2%대 후반으로 낮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또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4% 대로 올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soy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