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인플레 피크아웃?'…월가 상품 시장에서 자금 뺀다

기사등록 : 2022-07-05 13:4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주요 상품 가격 2분기 각 10~30% 하락
상품선물시장 자금 4주 연속 썰물
공급 개선·수요 둔화 전망 등 가격 상승 요인 해소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빠르게 치솟던 상품 가격이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상품 선물 시장에서도 가격 상승에 베팅하던 월가의 자금이 빠르게 썰물을 이루고 있어, 인플레이션이 마침에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돌아서고 있다는 관측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미국에서 물가상승률이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자 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고 긴축 속도는 인플레이션 등 경제 전망에 달렸다고 밝혀왔다. 인플레이션 정점 조짐이 보이면 연준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는 만큼, 시장에서는 상품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둔화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러시아 야로슬라블주 로스토프 네드비고프카 마을의 밀 밭 [사진=로이터 뉴스핌]

◆ 국제 상품 가격 2분기 10~30% 하락..."인플레이션이 완화 증거"

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밀, 옥수수, 구리에서 목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60% 이상 치솟았던 미국 내 천연가스 가격은 3.9% 하락세로 2분기를 마감했다. 배럴당 120달러까지 치솟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 역시 106달러 근방에서 2분기를 마감했으며, 밀, 옥수수, 대두 등 곡물 가격 역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반이던 3월 말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원면(cotton) 가격도 지난 5월 초 찍은 고점 대비 30% 넘게 빠졌다.

건축 기초자재인 구리와 목재 가격 역시 2분기 각각 22%, 31% 급락했다. 런던금속거래소(LSE)에서 거래되는 산업용 금속 가격도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분기 기준 최다 낙폭을 기록했다. 

[2분기 상품 선물 가격 수익률, 자료=팩트셋, WSJ 재인용] 2022.07.05 koinwon@newspim.com

이를 두고 루이스 네이블리어 네이블리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창업자는 "상품가격 둔화는 인플레이션이 식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지적했다.

상품 가격 흐름을 인플레이션 선행지표로 간주하고 있는 월가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의 일종으로 구리와 원유 등 각종 상품에 대한 베팅을 늘려왔다.  

그 덕에 올 상반기 미 증시가 처참한 수익률을 기록한 상황에서도 미국 대형 정유회사 엑손모빌과 옥시덴털페트롤리엄의 주가는 각 40%, 103% 폭등했다. 주요 곡물 생산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곡물 가격 폭등이 예상되며 비료업체인 모자이크와 곡물 중개업체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도 상반기에만 주가가 각 20%, 15% 급등했다. 상품 가격 상승을 예상한 베팅이 봇물을 이룬 결과다.

◆ 상품 선물시장 자금 4주 연속 썰물...상반기에만 1250억달러 유출

하지만 이제 각종 상품 가격이 하락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상품 선물 시장에서도 가격 상승에 베팅한 자금이 빠르게 썰물을 이루고 있다.

JP모간체이스의 트레이시 앨런 상품 전략가에 따르면, 지난 6월 24일까지 1주일간 상품 선물시장에서 약 150억달러(한화 약 19조5000억원)의 자금이 빠져나왔다. 4주 연속 유출이다. 이로써 올해 상반기에만 약 1250억달러(162조5000억원)가 선물시장에서 빠져나왔다. 

스톤X그룹의 크레이그 터너 상품 브로커는 WSJ에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이 경제성장 둔화를 초래했는지는 모르지만 머니 매니저들은 그렇다는 쪽에 베팅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플레를 잡기 위한 연준의 긴축 정책이 성장 둔화를 유발하며 결국엔 수요가 꺾일 것이란 전망에 투자자들이 빠르게 상품 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다는 설명이다.

[올해 고점 대비 주요 상품 가격 낙폭(%), 자료=팩트셋, WSJ 재인용] 2022.07.05 koinwon@newspim.com

◆ 공급 개선·수요 둔화 전망 등 상품 가격 상승 요인 해소

더불어 지난해부터 상품 가격 상승을 부추겼던 여러 요인들도 해소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곡물 가격을 끌어올렸던 이상 기후,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봉쇄 조치 등이 완화하며 상품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양상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달 24일까지 1주일간 미국의 석유생산은 하루 평균 1210만배럴로 증가했다. 2020년 4월 이후 최대 산유량이다. 

지난달 초 텍사스주 걸프 해안에 위치한 미국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시설인 프리포트 터미널에서 발생한 화재로 천연가스 수출 중단이 장기화함에 따라 미국 내 천연가스 재고가 넉넉해진 점도 겨울철 에너지 공급 부족 우려를 완화했다. 에너지 시장의 공급 부족 우려가 빠르게 해소되고 있는 것.

작년과 달리 올해에는 농산물 생산에 유리한 날씨가 이어지며, 미국, 유럽, 호주에서 작황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 역시 밀·옥수수·식물성 기름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 세계의 곡물 창고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에 한때 국제 곡물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으나 이제 곡물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 침공 직후인 2월 말 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안정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 급격히 상승 중인 30년 고정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는 건축용 목재와 구리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와 미국에서의 소비 지출 패턴 변화로 상품에 대한 수요가 여행·엔터테인먼트 등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는 점도 구리와 원면 수요 등에 대한 수요가 둔화할 것이란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월가 일각에서는 주식과 채권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상품 시장이 여전히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해 줄 안전한 베팅이라 보고 있다. JP모간의 애널리스트들은 전 세계 상품 재고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다양한 상품을 바탕으로 구성된 상품지수에 대한 투자를 통해 9월 말까지 약 10%, 연말까지 5%에 가까운 수익률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koinwon@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