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화 기자 = 기존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배 이상 빠르고 면역회피 성질까지 가진 하위 변이 'BA.5'가 국내에서 우세종화 되며 의료계와 방역 당국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지난주에는 이보다도 더 최악의 코로나19 바이러스로 불리는 'BA.2.75(켄타우로스)'가 국내 첫 확인돼, BA.5와 동시에 퍼지면서 유행 규모를 더욱 키우고 유행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경화 경제부 기자 |
방역 당국은 4차 접종 대상 확대로 위중증·사망에 취약한 고위험군 보호에 초점을 두되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국민 각자 자율로 책임 방역을 맡기기로 했지만, 아직 재유행의 복병이 될 새 변이와 관련한 감염 원인은 물론 경로조차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8월 중순이나 말쯤 하루 확진 규모가 30만 명에 달하면서 정점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유행세는 당초 예상보다 급격히 가팔라지고 있다.
현재 유행을 이끌고 있는 BA.5는 전파력과 면역회피 특성이 강한 만큼 재유행 확산세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더 위협적으로 알려진 BA.2.75의 경우 최초 감염자가 해외여행 이력이 없다는 점에서 이미 지역사회에 퍼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자칫 확산 억누르기에 실패하면 빗나간 예측으로 병상확보 대란을 초래한 2021년 말~2022년 초의 현장 의료진·환자 피해가 재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계속되는 코로나19 경고음 앞에서 '병상은 아직 여유 있다'던 방역 당국도 부랴부랴 병상동원령 등의 추가 처방을 내놨다.
유행이 빨라진 원인과 관련해 방역 당국에서는 BA.5 등 신규 변이를 우선 지목했다. 여기에 면역감소 시기가 도래했고 지난 4월18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이어 5월2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후 방역 긴장감이 이완된 것도 영향을 끼쳤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거리두기·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같은 확산 억제책이 없는 만큼 개인의 자율방역 준수가 중요해졌지만 이행률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상 유일한 방역 카드인 4차 백신접종도 탄력이 붙지 않고 있다.
백신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 속에 방역 당국은 백신 피해보상 강화안을 내놓고 달래기에 나섰지만 접종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지 장담하기 어렵다. 이는 코로나19 백신의 신뢰도 문제로, 안전성 우려와 거부감을 낮출 믿음직한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는 뜻이다.
일단 오미크론 하위변이 BA.5와 BA.2.75의 전파속도가 주요변수다. BA.2.75 전파양상에 따라선 새 유행이 이어지는 쌍봉형 곡선이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개인 자율적 방역정책이 깜깜이 환자를 키우는 등 검사·처치대상에 구멍을 내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방역당국이 자율방역을 추진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문제인 '확진자 규모 억제책'에 대해서는 묘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점도 우려스럽다. 보건복지부 장관후보자 연속 낙마로 컨트롤타워도 없는 상황에 격리자 생활지원금 축소 등 재정 줄이기식 접근은 국민의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
방역 당국의 방역정책이 '만시지탄(晩時之歎·때늦은 탄식)'하지 않으려면 조급함을 버리고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재유행 사태를 계기로 구멍 난 방역 체계를 환골탈태하는 수준으로 재점검하고 진정성 있는 '과학방역'을 보여주기를 기대해본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