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달 탐사 개막] 우주개발 32년 격차에서 14년 격차로 줄인다

기사등록 : 2022-08-05 08:1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실용 위성 발사체 우주강대국 격차 32년
달 탐사 6번째 국가 대비 격차 14년 단축
달 착륙 4번째 국가 기대 속 예타사업 관심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우리나리 최초의 달 탐사선(KPLO) 다누리가 달 궤도에 정상적으로 오르게 된다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 달 탐사국이 된다.

올해 한국형 발사체((KSLV-II)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에 이어 심우주 탐사까지 이뤄지는 등 우주강대국의 면모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톤이상 실용급 위성 발사체 우주강대국 격차 32년 

지난 6월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로 우리나라는 실용급 위성 발사체를 독자적으로 개발해 발사한 7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누리호의 성공은 1톤 이상의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해 사실상 우주 산업의 기초체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는 다른 해보다도 우주개발에 대한 성과가 집중되는 해이기도 하다. 과기부 한 고위 관계자는 "이같은 성과는 단순히 나온 것이 아니다"라며 "우주개발 강대국과 비교해 30~40년 정도 우주개발을 늦게 시작했지만 그 사이 축적의 시간이 이렇게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흥=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실제 기능이 없는 모사체(더미) 위성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됐다. 2022.06.21 photo@newspim.com

실제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를 보면, 1896년 천문우주과학연구소가 설립되면서 시작됐다고 보면 된다. 1989년 항공우주 분야의 연구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가 설립됐다. 같은 해 한국과학기술원에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설치됐다. 1992년 실험용 소형과학위성인 우리별 1호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1999년 국내 최초로 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 발사에 성공하며 본격적인 위성 개발이 추진됐다. 2008년에는 국내 최초의 우주인도 배출한 바 있다.

2010년 천리안 위성 발사로 정지궤도 위성 보유국이 됐다. 다목적 실용위성 등을 발사해 다중 위성 운영 시대를 열기도 했다. 2013년 나로호(KSLV-Ⅰ)의 성공적인 발사로 우주발사국 대열에 합류했다.

이후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보유국이 됐다.

항우연 관계자는 "우주개발 과정을 되돌아보면 숱한 어려움이 있었고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때론 줄면서 연구·개발(R&D)에도 애를 먹기도 했다"면서 "다만 향후 차세대 발사체 사업 등을 통해 굳건한 우주강대국 입지를 다져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달 탐사 6번째 인도 이후 격차 14년으로 단축 기대

다누리가 성공적인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하게 되면 우주개발에 대한 기존 우주강대국과의 격차는 무려 14년이나 단축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세계적으로 달 탐사에 성공한 국가는 러시아(구 소련),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인도 등 6개 국가에 불과하다. 인도는 2008년 달 탐사에 성공했다. 

실질적으로 다누리가 달 궤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우리나라는 7번째 달 탐사국이 된다. 7번째 달 탐사국이 되기 위해 6번째 국가와의 격차가 14년이 되는 셈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자들이 오는 8월 발사를 앞둔 다누리에 대한 최종 점검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자료=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2.06.04 biggerthanseoul@newspim.com

하지만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기록은 갈수록 격차를 좁혀나갈 것으로도 기대된다.

이는 바로 달 착륙선 개발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달 착륙에 성공한 국가는 러시아(구 소련), 미국, 중국 등 3개 국가뿐이다.

중국은 2013년 달에 무인 우주선 창어 3호를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후 인도는 2019년 달 착륙선을 발사했지만 착륙에는 실패했다. 

우리나라는 오는 2031년 달에 도달할 수 있는 달 착륙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차세대 발사체 예비타당성 사업이 통과될 경우, 독자적인 발사체로 달까지 진입해 달 착륙에 도전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앞선 국가와의 격차가 18년이나 예상되지만 성공하게 되면 달 착륙 4번째 국가로 올라설 수도 있다. 세계적으로 우주개발 격차를 추가적으로 좁히게 된다는 얘기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실용급 위성 발사체를 개발해 30여년의 기술력 차이를 가졌다면 달 탐사선으로 14년의 격차로 단축하게 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주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민간 기업의 노력이 보태질 경우에는 우주강국으로서의 기술력 차이를 극복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