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소가윤 기자 = 정부가 2026년까지 5년간 총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초급(고졸·전문학사) 16만명, 중급(학사) 71만명, 고급(석·박사) 13만명 등이다.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등 초‧중등 정보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학기당 수업량 중 1주를 자율시간으로 둬 정보교과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앞서 제시된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에도 포함된 내용이다.
[사진=교육부] 소가윤 기자 = 정부가 22일 발표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에 따르면 2026년까지 5년간 총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가 양성된다. 초급(고졸·전문학사) 16만명, 중급(학사) 71만명, 고급(석·박사) 13만명 등이다. 2022.08.18 sona1@newspim.com |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는 분야는 AI, 일반 SW(블록체인 포함), 빅데이터, 메타버스(AR, VR 포함),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5G‧6G, 사이버보안 등 8개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디지털 분야 인재 수요는 약 73만8000명(초급 9만명, 중급 52만명, 고급 12만8000명)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인력 수요를 바탕으로 초급 21개, 중급 41개, 고급 32개 등 총 81개 사업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총 100만명의 인재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디지털 분야 인재양성 규모는 지난해 정부 재정사업 기준으로 약 9만9000명(초급 1만5000명, 중급6만6000명, 고급 약 1만7000명)이다. 이를 포함해 연 평균 20만명 규모로 향후 5년간 초급(고졸·전문학사) 16만명, 중급(학사) 71만명, 고급(석·박사) 13만명 등 총 100만명 이상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디지털 분야 8개의 전문연구기관들이 매년 실태조사를 실시해 전망하고 있는 인력수요를 예상한 것"이라며 "신산업이 성장할 때 나타나는 성장수요와 기존 산업 내 증감이 이뤄지는 대체수요까지 포함해 추산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다만 직업계고와 대학 등 학교가 주관하는 인재 양성규모는 약 52%이며 기업과 직업훈련기관 등 학교 외 기관이 주관하는 경우는 48% 수준이다.
◆ 제도 유연화·선도대학 육성
우선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달 발표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에서 제시된 고등교육 규제개혁과제와 계약학과 관련 사항을 디지털 분야에도 적용한다. 교원확보율만 100% 충족하면 대학의 반도체 등 첨단분야 학과(학부) 신·증설이 허용되고 석·박사 정원 증원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인재 양성 계획을 살펴보면 2026년까지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21개 분야, 2027년까지 SW중심대학 100개교, 2026년까지 신산업 특화 전문대학 21개 분야 등 사업을 지속 확대해 디지털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디지털 첨단분야 전공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영재 육성을 위해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SW·AI 특화 교육과정을 올해 시범 운영한다. 2025년까지 영재학급도 70개로 확대한다. 디지털 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도 확대 현재 6개교에서 권역별 1~2개교로 확대하고 직업계고 학생(졸업생) 대상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을 올해 신설한다.
[사진=교육부] 소가윤 기자 = 정부가 22일 발표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인문‧사회 등 다양한 전공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 역량 향상 지원을 위해 대학-민간 연계 집중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이 도입된다. 2022.08.18 sona1@newspim.com |
◆ 대학에 부트캠프 도입·기업 주도 디지털 교육과정 지원
내년부터 인문‧사회 등 다양한 전공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 역량 향상 지원을 위해 대학-민간 연계 집중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을 도입한다.
부트캠프는 지난 2011년에 미국 뉴욕에서 IT 개발 소프트웨어업체에서 도입한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이 6개월 집중과정을 이수하면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을 갖출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4년제 일반대학의 경우 4학년 때 한 학기 또는 1년 동안 부트캠프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 후 취업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재직자 전환교육도 실시한다. 시도별 우수 전문대학을 직업전환교육기관(DX-academy)으로 지정·운영하고 고경력 은퇴자 등을 디지털 전환 전문가로 육성할 계획이다.
고용부(29개), 과기정통부(12개), 산업부(11개), 중기부(5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훈련을 제공한다.
기업 주도의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도 지원한다.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 기업을 '디지털 선도(리더스) 클럽'으로 인증해 인프라를 지원하고 정부 연구개발(R&D)사업 가점 등을 부여한다.
[사진=교육부] 소가윤 기자 = 정부가 2026년까지 5년간 총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2022.08.18 sona1@newspim.com |
◆ 정보교과 수업 시수 확보·디지털 튜터 배치
초‧중등 정보교육을 확대를 위해 정보교과 수업시수를 초등학교 34시간, 중학교 68시간 등 기존보다 2배 이상 편성한다. SW‧AI 방학중(방과후) 캠프도 지원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정보교과 수업 시수에 대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기당 교과 수업 시수를 기존 17주에서 16주로 편성하고 1주는 학교가 자율시간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전체 수업 시수를 늘리지 않고 자율시간에 정보교과 수업시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024년부터 성인 디지털역량 진단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해 문해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교육소외지역 학교(농어촌 초등 1809개교)에는 디지털 튜터를 배치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초중등교육법시행령에 따른 강사배치기준법에 근거해 보조교사를 디지털 튜터로 채용하며 올해 시도교육청과 협의해 34개 학교에서 디지털 튜터 시범사업을 운영한다.
디지털 교육·경험·자격 이력을 증명하는 '디지털배지'의 활용‧확산을 지원하고, 디지털 분야 정부 내 지원 사업 간 연계를 통해 성장 기회를 주는 '재능사다리(진로상담, 후속과정 우선선발권 지원 등)'를 구축한다.
또 대학 교수로 민간전문가(재직자, 퇴직자, 비정규 교육기관 교‧강사, 해외교원 등)를 활용하기 위한 규제 개선, 지원책 마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추진한다.
디지털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2024년부터 초중등에 AI보조교사, 대학에 AI튜터링 지원 ▲디지털 교과서 및 콘텐츠 보급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 및 마이포트폴리오(디지털배지 연계) 구축 ▲스마트학교 조성 및 학생별 노트북(태블릿) 등 지급 등을 지원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전 사회 분야에서 활약할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며 "생애발달 전 주기에 걸쳐 교육 체제 내에서 디지털 친화적 인재를 적극 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sona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