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위안화 환율이 흔들리고 있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중국의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 환율이 부담을 주고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산하 외환거래센터는 22일 달러당 위안화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133위안 오른 6.8198위안으로 고시했다. 위안화 가치로는 전 거래일 대비 0.2% 하락한 것이다.
외환시장에서의 위안화는 더욱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기준환율 고시 직후 역내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위안화 환율은 6.82위안을 돌파한 데 이어 장중한때 6.85위안까지 치솟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주(8월 15~19일)에도 달러당 위안화 환율을 큰 폭으로 높였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19일 달러당 위안화 기준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0.0263위안 오른 6.806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가치로는 0.39% 하락한 것으로, 이는 2020년 9월 30일 이후 최저치다. 이로써 지난주 한주간 달러당 위안화 기준환율은 1% 가량 올랐다.
[사진=바이두(百度)] |
◆ 美 금리 인상·中 경기 하강 압력에 위안화 '울상'
위안화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미국의 통화정책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연준이 오는 9월 금리를 75bp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추가 인상하거나 인상 폭을 대폭 키울 경우 글로벌 투자자금이 안전자산인 달러로 모이면서 중국 등 신흥국으로부터 대규모 자본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여파로 달러는 강세를, 위안화는 약세를 보이게 되는 것.
중진공사(中金公司)연구원 소속 외환시장 전문가 리류양(李劉陽)은 "최근의 시장 데이터와 연준 위원회 입장을 볼 때 연준이 단기적으로 긴축 기조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외부 경기 하강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열악한 중국 내부 상황 역시 위안화 환율에 부담을 주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경기 성장에 빨간 불이 켜진 가운데 폭염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경기 침체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다.
인민은행이 최근 '깜짝'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은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 의지를 반영한 것이지만 그만큼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음을 인정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중국 당국은 그간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다. 미국 등이 긴축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점, 유동성 과잉 공급에 따른 물가 상승 부담 때문이었다.
일례로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는지난달 21일 허베이(河北)성 밀 수확 현장을 시찰하면서 "식량 생산 기반을 견실히 하는 것은 물가 안정에 매우 중요하다"며 "고용과 물가는 경제가 합리적 구간에 있는지를 보는 중요한 지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줄곧 온건한 통화 정책을 운용하면서도 돈을 과도하게 풀지는 않았다"며 "앞으로 더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고 새로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정책 (운용)공간을 남겨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달 15일 열린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도 리 총리는 "(정책) 강도를 과감하게 높여 취할 수 있는 경제 안정 조치는 모두 취해야 한다"면서도 "화폐를 지나치게 찍어내지 않고 미래를 당겨쓰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과도한 부양 조치는 취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었다. 감세 규모를 확대하거나 인프라 투자·선별적 유동성 공급·가전 및 자동차 구매 지원 등을 뛰어넘는 공격적인 부양책은 나오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인민은행은 그러나 이달 15일 정책금리인 1년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돌연 인하했다. 지난 1월 1년물 MLF 금리를 2.95%에서 2.85%로 인하한 뒤 7개월 만에 또 2.75%로 10bp 낮춘 것이다.
MLF 금리가 인하되자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가능성이 급속도로 대두했다. MLF 금리는 LPR 조절 수단으로써 중국 당국은 MLF 금리를 통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LPR을 조절한다.
LPR은 시중 은행이 최우량 고객에 적용하는 대출 최저 금리의 평균치다. 18개 시중 은행이 보고한 우대금리를 취합한 뒤 MLF 금리와 융자 비용 등을 함께 고려해 인민은행이 매월 20일 전후 고시한다.
실제로 22일 LPR 금리가 인하됐다. 인민은행은 1년 만기 LPR과 5년 만기 LPR을 각각 0.05%p, 0.15%p 인하한 3.65%, 4.3%로 조정했다. 1년 만기 LPR 인하는 지난 1월 이후 7개월 만, 5년 만기 LPR 인하는 세 달 만이다.
당초 일반 대출에 영향을 미치는 1년 만기 LPR보다 주택담보대출 등의 기준금리가 되는 5년 만기 LPR만 인하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었다. LPR 인하에 따라 시중금리 역시 '역대급'으로 낮아졌다는 점, 종전 1년물과 5년물 LPR 차이가 0.75%p까지 좁아졌다는 점이 그 배경으로 지목됐다.
[사진=바이두(百度)] |
◆ 하반기 '환율 전쟁' 더욱 치열해질 것, 달러당 7위안대 진입도 가능
경기 하강 압력 속에 올들어 역외 시장에서의 달러당 위안화 환율은 7.5%가량 상승한 상황. 전문가들은 위안화 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연준의 금리 인상 행보에 따른 미 달러지수의 지속적인 상승, 유럽의 에너지 리스크 및 경기 침체 리스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 주기에 돌입하게 되면 위안화 절하 압력이 더욱 가시화할 것이고 하반기로 하반기로 갈수록 환율전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상하이(上海)증권 고정수익 전문가 정자웨이(鄭嘉偉)는 "위안화 환율 변동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지금의 6.6~6.8위안 수준에서 6.6~7위안까지 폭이 더욱 벌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신(中信)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 밍밍(明明)은 "경기 하강 압박과 높은 달러지수라는 리스크로 인해 위안화가 다시금 변동 구간에 진입할 것"이라며 "향후 위안화 환율은 중국 경기 안정 신호와 수출입 상황, 달러지수 흐름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