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고강도 긴축으로 달러 강세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아시아에 외환위기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다.
연초부터 지속된 달러 강세로 각국이 추락하는 자국 통화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달러 외환을 빠르게 소진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과 연준 긴축, 킹달러 흐름이 모두 장기화하면서 이러한 방어력이 한계를 마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까지 전 세계적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 안전자산인 달러 가치는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달러 강세로 신흥국에서 외국인 자본이 우선적으로 빠져나가며 위기가 촉발될 수 있다는 경고다.
여기에 신흥국 중 내년에 만기도래가 집중된 곳이 많으며, 재정 부담까지 겹쳐 1~2년 내로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 남아시아 국가들이 줄도산할 것이란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한국의 경우 외환보유고가 넉넉하다는 점은 다행이나, 경상수지 적자 우려가 남아있어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이다. 특히 외환위기 뇌관이 될 수 있는 아시아 신흥국들과의 교역 규모가 상당해 위기에 취약하긴 마찬가지라는 평가다.
미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신흥국, 킹달러에 K.O.직전
연준이 고강도 금리 인상 정책을 펼치면서 달러 가치는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달러 가치를 주요 교역국의 통화 바스켓과 비교해 측정하는 달러 인덱스는 올해 들어 14% 넘게 상승, 1985년 달러 인덱스 도입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이러한 달러 초강세는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부담이나 특히 신흥국에 강한 타격이 된다. 강달러는 신흥국에 투자된 외국 자본 유출을 자극하며, 신흥국이 발행한 달러표시 채권 원리금의 상환 부담을 키워 부채 상환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내년 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신흥국 정부의 달러 표시 부채는 830억달러에 달한다.
신흥국들이 달러 강세에 따른 자국통화 가치 방어를 위해 사용해야 하는 외환보유고가 급감하고 있다는 점도 위기 임박설에 힘을 싣는다. 국제통화기금(IMF)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흥국 외환보유고가 3790억달러 줄었다.
이로 인해 신흥국의 디폴트(채무 불이행) 위험도 커지고 있는데, 스리랑카의 경우 이미 5월 디폴트에 빠졌고 파키스탄, 이집트, 튀르키예, 가나 등도 디폴트가 임박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던 아시아가 시장 개입을 통해 통화 방어에 나섰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인도네시아와 일본, 인도 당국 등이 통화 방어에 나섰지만 환율 방어 효과는 미미했다.
TD증권 신흥시장 전략대표 미툴 코테차는 "시장 개입으로 아시아 자산 가치 하락을 더디게 할 수는 있어도 완전히 멈추지는 못한다"면서 "앞으로 수 주 동안 미국 금리 인상과 달러 강세, 아시아 역내 실질 금리의 상대적 하락 흐름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신은 또 전문가들이 특히 킹달러에 아시아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위안화와 엔화가 무너진 점을 지적하며 1997년 이후 '제2의 외환위기'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위안화의 경우 심리적 저지선으로 불리던 1달러당 7위안이 뚫린데 이어 7.5위안도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엔화는 일본 금융당국의 개입에 환율이 일주일 전 달러당 140엔대까지 떨어졌지만 29일 한때 다시 145엔에 육박하는 등 가치 하락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루피화,페소화, 원화, 바트화 가치가 1년 사이 급락한 모습 [사진=비즈니스스탠다드인용] 2022.09.30 kwonjiun@newspim.com |
◆ 한국, 신흥국 위기 '안전지대' 아냐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아시아 외환위기에 취약한 곳으로 한국과 필리핀, 태국을 지목해 눈길을 끌었다. 모두 경상수지 적자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트란 투이 레 맥쿼리캐피털 전략가는 "한국의 원화, 필리핀 페소, 태국 바트 등 경상수지 적자 상태에 있는 국가의 통화가 가장 취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9월 말 4692억달러였던 외환보유액이 올해 8월 말 4364억달러로 328억달러가 줄었지만 위기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다.
하지만 8월 무역수지가 95억달러의 적자를 기록해 우려를 자극했으며, 올해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400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시아 교역국에서 외환 위기가 발생할 경우 한국이 직격타를 맞을 위험도 있는데, 최근에는 인도와 베트남 등이 위기 뇌관이 될 것이란 경고도 나왔다.
인도의 경우 지난 1년 간 1000억달러 가까이를 지출해 루피화 방어를 시도했지만 지난 금요일 루피화 가치는 달러 대비 최저치로 떨어졌다.
베트남 경상수지 추이 [사진=트레이딩이코노믹스인용] 2022.09.30 kwonjiun@newspim.com |
베트남도 환율방어를 위해 달러를 계속 매각하고 있지만 외환보유고가 버틸 수 있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쩐 응옥 바우 와이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올 초 1100억달러 수준이던 베트남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가 현재 870억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베트남 중앙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외환보유고는 1000억달러를 상회했기 때문이 이후 3개월 동안 집중 매각이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그간 견실한 수준을 유지해오던 베트남의 무역수지도 악화 신호가 나오기 시작했다.
베트남 해관총국에 따르면 9월 15일까지 교역액은 263억4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약 26% 감소했고, 특히 수출 감소폭이 수입 감소폭보다 커 무역수지는 8억4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앞으로 베트남 무역적자가 확대되거나 외환보유고가 바닥나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주식과 채권 시장에서 '패닉셀'이 나타날 수 있고, 아시아 전체에서 외국인들의 자금 유출을 자극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수 십년 간 위기에서도 드러났듯 아시아 한 곳에서 재정 위기가 발생하면 트레이더들이 비슷한 경제 문제를 가진 주변국에서 자금을 한꺼번에 빼내 도미노 위기가 발생하기 십상이라고 경고했다.
IMF 전망에 따르면 선진국과 개도국, 신흥아시아 지역의 경상수지는 앞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사진=IMF] 2022.09.30 kwonjiun@newspim.com |
kwonjiun@newspim.com